논문 상세보기

경상남도 내 습지의 공간 분포 및 사회적 특성 KCI 등재

Spatial Distribution and Social Characteristics for Wetlands in Gyeongsangnam-do Provin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270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태와 환경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초록

습지의 생태-사회적 가치는 인간사회에 혜택을 준다. 많은 나라들이 습지를 보전하고 보호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많은 습지들은 자연적 교란과 함께 인위적 교란으로 인해 소실되거나 구획화되었다. 구획화된 습지 는 경관생태학적 연구의 주 대상이 되는데 이는 습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보전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 는 행정구역상 경상남도 습지의 공간-사회적 분포양상을 파악하기 위해서 습지의 분포와 크기, 습지 간의 거리, 습 지의 경관학적 형태, 토지이용현황, 공시지가 등을 연구하 였다. 경상남도 내에는 146개(3,598.85 ha)의 습지가 분 포해 있고 하천습지가 76개(1,955.60 ha), 범람습지가 49 개(1,282.28 ha), 산지습지가 21개(1,282.28 ha)이었다. 대 부분의 습지들이 크기가 작고(⁄2 ha) 농경지에 둘러 쌓 여 있었다. 많은 습지들이 구획화되어 있고 훼손상태가 심각하지만 하천습지와 농업용 수로를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습지의 연결성 확대를 통한 습지 서식처의 확장은 습지에 의존하여 서식하는 생물들의 보 전에 매우 유의할 것으로 생각된다. 많은 습지들이 현재 농업용수확보를 위한 유지로 이용되고 있고 국유지의 비 율이 높아 추후 습지의 훼손과 소실은 국가단위의 대규 모 계획공사로 인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생태적으로 민감 한 행정과 법률의 개발이 습지의 보전과 관리를 위해 중 요하다.

The wetlands have eco-sociological values because their functions have proven to be useful to human society. Many countries are working to conserve and protect the wetland ecosystems. However, many wetlands have disappeared or have been fragmented due to a natural and/or anthropogenic disturbance. These isolated wetlands appear to work best in the landscape, as a spatially distributed system. We have analyzed the spatial-social distribution patterns of wetlands in Gyeongsangnam- do Province (GNP). We examined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wetland sizes, the distances to the nearest wetlands, the shapes of the wetlands, land-use patterns, land owners, and official land values were confirmed as social characteristics for each wetland. A total of 146 wetlands (3,598.85 ha), including 76 riverine wetlands (1,955.60 ha), 49 palustrine wetlands (1,282.28 ha) and 21 mountain wetlands (1,282.28 ha) were identified in GNP. Most wetlands left for use to drainage were small (⁄2 ha) and located in agricultural areas. However, small and isolated wetlands were clustered, according to the location, indicating that these wetlands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using the linear riverine wetlands and water channels in agricultural areas. This is extremely valuable in maintaining the biodiversity, such that any loss of small wetlands will cause a direct reduction in the connectedness among populations of the remaining species. Due to most wetlands belonging to the nation or businesses, being classified as reservoirs (water storage areas), and consequently, degradation of wetlands will progress due to grand-scale engineering works. Therefore, wetland policy and ecologically sensitive laws and policies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promote the wise-use for wetlands.

저자
  • 도윤호(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 Do, Yuno
  • 김지윤(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 Ji Yoon Kim
  • 임란영(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 Ran-Young Im
  • 김성보(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 Seong-Bo Kim
  • 최종윤(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 Jong-Yoon Choi
  • 주기재(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 Gea-Jae Joo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