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멸종위기 어류 꾸구리 Gobiobotia macrocephala (Pisces: Cyprinidae)의 번식생태 KCI 등재

Reproductive Ecology of an Endangered Species Gobiobotia macrocephala (Pisces: Cyprinidae), in Seom Rive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270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태와 환경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초록

멸종위기종 꾸구리의 번식생태를 밝히기 위하여 2010 년 3월부터 2011년 2월까지 한강 지류인 섬강에서 연구 를 진행하였다. 비산란기의 암컷과 수컷은 형태적으로 차 이가 없었으나 산란기에는 체장에 대한 체고와 체폭, 배 지느러미 기점거리, 뒷지느러미 기점거리 등에서 차이를 보여 구별되었다. 성비(♀ : 􀕵)는 1 : 1.01이었고, 산란기는 수온 15~25􀆆C인 4월말부터 6월 중순으로 추정되었다. 포란수는 평균 2,134±930개였으며, 성숙난의 크기는 0.88 ±0.04mm였다. 산란장소는 느린 여울부인 유속 13~24 cm sec-1, 수심 12~18 cm의 3~10 cm의 자갈과 돌이 깔 려있는 곳으로 추정되었다. 실험실 수조에서 Ovaprim을 주사하여 산란행동을 유도한 결과, 14~15시간 후에 암 컷과 수컷이 수면 근처에서 1 : 1로 산란하였다.

The reproductive ecology of an endangered species, Gobiobotia macrocephala (Pisces: Cyprinidae), was investigated in the Seom River, a tributary of the Han River drainage system, from March 2010 to February 2011. During the non-spawning season, no difference in the external morphology was observed between males and females; however, during the spawning season, clear differences merged for the depth and width of the body, preventral length and preanal length in the standard length. The sex ratio of females to males was 1 : 1.01. The spawning season was estimated to last from late April to middle of June, at water temperatures of 15~25􀆆C. The number of mature eggs in the ovary averaged about 2,134±930 (mean±SD), and the mean diameter was approximately 0.88±0.04 mm. The spawning area was composed of pebble and cobble bottoms (3~10 cm), with current velocities of 13~24 cm s-1 and water depths of 12~18 cm. Spawning behavior between males and females was observed in a water tank 14~15 h after injecting females with Ovaprim to promote reproduction. Fish spawned near the water surface with monogamous pairing.

저자
  • 고명훈(순천향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시스템공학과) | Ko, Myeong-Hun
  • 송하윤(순천향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시스템공학과) | Ha-Yoon Song
  • 홍양기(순천향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시스템공학과) | Yang-Gi Hong
  • 방인철(순천향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시스템공학과) | In-Chul Bang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