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수중 음향 측정방식을 이용한 금강 중∙하류의 눈불개 이동성 평가 KCI 등재

Evaluation of the Movement Pattern of Squaliobarbus curriculus Inhabiting in the Mid-lower Part of Geum River Using Acoustic Telemetr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272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태와 환경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초록

어류는 수체 내에 서식하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행동이 나 이동을 연구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원격측정방식 중 하나인 수중음향측정 방식(acoustic telemetry)은 수 생 생물 특히, 어류에 효과적으로 적용되는 방식으로 이 동경로 및 거리, 패턴의 분석에 효과적이다. 본 연구에서 는 국내에 서식하는 잉어과 어류인 눈불개를 대상으로 하 여 수중음향측정방식을 적용, 서식처범위(home range)와 이동패턴에 대한 모니터링을 시행하였다. 연구는 금강 하 구둑부터 백제보까지의 약 70 km 구간을 대상으로 총 9 개체의 눈불개를 하구둑(Sc1-3)과 백제보(Sc4-9)에서 각 각 방류하여 모니터링을 진행하였다. 하구둑에서 방류한 개체들은 방류지점으로부터 12.7 km 상류지점까지를 서 식처 범위로 하여 이동하는 패턴을 나타냈고, 백제보에서 방류한 개체들은 가장 하류까지 이동한 Sc6 (방류지점에 서 직선거리로 53.4 km 하류까지 이동)을 제외하고 대부 분 방류지점에서 7.2 km 하류 지역을 서식처 범위로 이용 하고 있었다.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Sc7, 8, 9 개체는 큰 이동을 보이지 않았다. 눈불개의 총 이동거리는 개체의 체장의 크기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rs=0.715, p=0.03), 또한 이동 개체와 이동하지 않은 개체 비교 시 이동 개체들의 체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큰 것으로 확 인되었다(Mann-Whitney U test, p=0.024). 따라서 눈불 개의 이동 범위는 크기와 관련이 있고, 체장이 커질수록 총 이동거리가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모니터링 개체수가 많지 않았지만 대상종의 이동과 관련된 의미 있 는 자료들의 수집이 가능하였으며, 연구방식이 전반적으 로 국내의 다양한 어류에 안정적으로 적용이 가능하기 때 문에 향후 어류의 이동을 모니터링을 하는데 있어서 활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Visual monitoring is hard to apply on fish because they are living in a water system. To overcome this problem, acoustic telemetry, which is effective for underwater monitoring, is often used for studying fish behaviors, such as movement distance, route and patterns. In this study, in order to monitor the movement pattern of Squaliobarbus curriculus (family Cyprinidae), we used acoustic telemetry and identified the home range and movement distances. A total of nine individuals were released at two different locations: one is at the estuary barrage (Sc1~3) and the other is at the lower part of Baekjae Weir (Sc4~9), located in Geum River. Approximately, a 70 km section from the estuary barrage was investigated. Fish, which were released at the estuary barrage, utilized up to 12.7 km upstream as home range from the release site. At the lower part of Baekjae Weir, most of the fish moved and stayed within a 7.2 km downstream area, except for Sc6, which moved 53.4 km (linear maximum distance from release site) downstream from the release site. Relatively small sized fish (Sc7~9) did not show any movement. Accumulated movement distanc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standard length of S. curriculus (rs=0.715, p=0.03). Moreover, the standard length of moving fish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not moving fish (Mann- Whitney U test, p=0.024). Therefore, the movement distance of S. curriculus has been correlated with fish size; movement distance was increased with the standard fish length. Although the sample size of monitored fish was small, various meaningful data were collected by acoustic telemetry. Consequently, this technique could be a method available for effectively monitoring the behavior and ecology of native Korean and endemic species.

저자
  • 윤주덕(공주대학교 생물자원센타) | Yoon, Ju-Duk
  • 김정희(공주대학교 생물교육과) | Jeong-Hui Kim
  • 인동수(공주대학교 생물자원센타) | Dong-Su In
  • 황은지(공주대학교 생물교육과) | Eun-Ji Hwang
  • 윤조희(국립환경과학원 금강물환경연구소) | Johee Yoon
  • 이영준(국립환경과학원 금강물환경연구소) | Young-Joon Lee
  • 장광현(경희대학교 환경학 및 환경공학과) | Kwang-Hyeon Chang
  • 장민호(공주대학교 생물교육과) | Min-Ho Jang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