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산불발생에 따른 외생균근성 버섯의 분포 KCI 등재

Distribution of Ectomycorrhizal Fruit Bodies According to Forest Fire A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275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생태와 환경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초록

2010년 6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고등균류를 조사한 결과, 총 2계 3문 6강 15목 34과 59속 107종이 동정되었으며, 담자균문은 28과 51속 99종, 자낭균문은 5과 7속 7 종 및 아메바문은 1과 1속 1종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외생균근성 버섯을 조사한 결과 총 10과 17속 49종 총 801개체가 조사되었으며 이 중 애기꾀꼬리버섯이 198개 체로 가장 많이 발생되었고 꾀꼬리버섯 66개체, 색시졸 각버섯 53개체 순이었다. 종 분포가 높은 균류는 광대버섯과가 14종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그물버섯과 12종, 무당버섯과 11종 순 으로 조사되었다. 조사시기별 분포에서는 7월과 8월에 가장 다양한 외생 균근성 버섯이 발생되었는데 이는 높은 온도 및 강수량 이 많은 시기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구별 분포에서는 조사구 I인 소나무 군락 (8과 13 속 30종)과 II인 참나무 군락 (8과 12속 30종)에서 가장 높았고, 조사구 IV (1과 1속 1종)와 V의 곰솔 식재지 에 서는 발생하지 않았다. 외생균근성 버섯 발생에 영향을 주는 기후환경 요인으 로는 대기온도 (평균온도, 최저온도, 최고온도)에서, 토양 환경 요인으로는 토양 산도와 유기물함량에서 밀접한 관 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versity of ectomycorrhizal fungi by surveying sites from June 2010 to October 2011. The obtained results from investigation were as follows. The total of 2 Kingdom 3 Phylum 6 classes 15 orders 34 families 59 genera and 107 species including saprophytic and ectomycorrhizal fungi was investigated. A total of 10 families 17 genera 49 species (801 ea.) of ectomycorrhizal mushroom was investigated. The mushrooms are classified into 28 families 51 genera and 99 species in Basidiomycota, 5 families 7 genera and 7 species in Ascomycota and 1 families 1 genera and 1 species in Amoebozoa. Dorminant species were Amanitaceae (14 species) followed by Russulaceae (12 species) and Boletaceae (11 species). The populaion ectomycorrhizal mushroom was highest in sites 1 and 2, and sites 4 and 5 occurrence rarely. The mushroom occurrence of ectomycorrhizal fungi was closely related to climatic conditions such as high air temperature and lots of rainfall from July to August. The environment factors which have a favorable influence of mushroom occurrence were soil pH, organic matter content of soil and air temperature of climatic environment.

저자
  • 김홍진(원광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환경조경학과) | Kim, Hong-Jin
  • 정진철(원광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환경조경학과) | Jin-Chul Chung Corresponding author
  • 장석기(원광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환경조경학과) | Seog-Ki Jang
  • 장규관(원광대학교 부속 자연식물원) | Kyu-Kwan J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