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고성 배봉천의 어류군집과 멸종위기어종의 서식현황 KCI 등재

Fish Community Structure and Inhabiting Status of Endangered Species in Baebong Strea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276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생태와 환경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초록

본 연구는 강원도 고성군 배봉천의 어류군집 및 멸종 위기종의 서식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1년 계절별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배봉천 상류(St. 1~3, 5)는 경사가 높 고 돌과 큰돌의 비율이 높은 Aa형의 하천형으로 14종의 어류가 서식하였고, 하류(St. 4, 6~7)는 경사가 낮고 자갈 과 돌, 모래의 비율이 높은 Bb형의 하천형으로 26종의 어 류가 서식하고 있었다. 전체 출현한 어종은 모두 10과 26 종이었고, 우점종은 버들개(Rhynchocypris steindachneri, 31.2%), 아우점종은 점몰개 (Squalidus multimaculatus, 13.3%)와 잔가시고기 (Pungitius kaibarae, 11.0%)였으며, 그 다음으로 참갈겨니 (Zacco koreanus, 7.8%)와 미꾸리 (Misgurnus anguillicaudatus, 7.0%), 북방종개 (Iksookimia pacifica, 5.5%), 피라미(Z. platypus, 5.3%) 등의 순으 로 우세하게 출현하였다. 출현종 중 우리나라 고유종은 점몰개, 참갈겨니, 북방종개, 퉁가리(Liobagrus andersoni) 4종이었으며, 멸종위기어류는 칠성장어(Lethenteron japonica) 과 다묵장어(L. reissneri), 가시고기(Pungitius sinensis), 한둑중개 (Cottus hangiongensis) 4종이 서식하고 있 었다. 또한 소하성 어류는 연어(Oncorhynchus keta), 칠성 장어, 황어(Tribolodon hakonensis) 3종이, 양측회유성 어 류는 은어 (Plecoglossus altivelis)가 서식하고 있었다. 지 점들간의 군집유사도를 분석한 결과 상류부와 하류부로 나누어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하천에 설치된 보로 인해 단절이 심화되었다. 어류들의 안정된 서식과 이동을 위해 서는 설치된 보에 적절한 어도의 설치가 필요하다고 판 단된다.

Fish community structure and inhabit status of endangered fish species were investigated during April to November 2011 in Baebong Stream, Gangwon do, Korea. The number of fish species inhabiting the upper section (Stations 1~3, 5) was 14 and the stream bottoms were mostly composed of cobbles and boulders (Aa-type). Meanwhile, the number of fish species inhabiting the lower section (Stations 4, 6, 7) was 26 and the stream bottoms were mostly composed of pebbles, cobles and sand (Bb-type). A total of 26 species belonging to ten families were found in the stream during the survey period. The dominant and subdominant species were Rhynchocypris steindachneri (31.1%) and Squalidus multimaculatus (13.3%), respectively, and others such as Pungitius kaibarae (11.0%), Zacco koreanus (7.8%), Misgurnus anguillicaudatus (7.0%), Iksookimia pacifica (5.5%) and Z. platypus (5.3%) were followed in the order. Four species of Squalidus multimaculatus, Z. koreanus, I. pacifica and Liobagrus andersoni were endemic to Korea. And, Lethenteron japonica, L. reissneri, Pungitius sinensis and Cottus hangiongensis were endangered fish species in this stream. Oncorhynchus keta, L. japonica and Tribolodon hakonensis were anadromous species, and Plecoglossus altivelis was an amphidromous species. The similarity index based o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clearly divided the fish community structure of the Baebong Stream into two sections fragmented by a weir installed into the stream. It is necessary to install a fish ways on the weirs for a fish migration and movements.

저자
  • 고명훈(순천향대학교 생명시스템학과) | Ko, Myeong-Hun
  • 문신주(순천향대학교 생명시스템학과) | Shin-Joo Moon
  • 방인철(순천향대학교 생명시스템학과) | In-Chul Bang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