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낙동강 지류하천에 설치된 어도의 형식분류 및 평가 KCI 등재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of Fishway in the Tributary of Nakdong Rive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276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태와 환경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초록

낙동강 지류하천에 설치된 어도의 형식분류 및 평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786개 하천에 설치된 보 및 어도를 조사한 결과, 보는 9,164개, 어도는 1,263개로 조사되었고, 어도설치율은 약 14%로 나타났다. 􀓋하천설계기준에 따라 어도를 분류한 결과, 표준형 (풀 형식, 수로형식) 어도는 62%, 비표준형 어도는 38%로 나타나 대체로 표준형 어도가 많았지만, 하천설계기준 에서 제시되지 않은 비표준형 어도도 많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준형 어도중에는 풀형37% 수로형식 63%로 수로형식이 대부분을 차지하였 다. 또한 풀형식은 일반형, 노치형 계단식이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1,263개소의 어도를 평가한 결과 중 양호 354개, 중간 835개, 불량 74개로 전체어도 중 약 72%가 중간등급 이하로 평가되어 대체로 보수 및 보완이 필요한 어도 가 많은 것(풀형식 제외)으로 나타났다. 중간등급 어도 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경사 도가 가장 큰 문제점을 보였고, 출구가 가장 적은 문제 점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따른 개선이 이루어 져야 어도가 제기능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현재 낙동강 지류하천의 경우 어도설치율이 14%이며 이 중 양호한 어도가 28%로 평가되어 실제 어류가 이 용가능한 어도는 약 4%로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낙동강 지류하천에서 실제 어류가 이용가능한 어 도의 비율이 매우 낮게 나타나, 하천의 단절현상을 개선 하기 위해서는 현재 설치된 어도의 보수 및 보완과 어도 의 신설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어도를 신설할 때에 는 무분별한 어도의 설치보다는 수산연구기관과의 협의 를 통해 어도의 설치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어도 설치 후 지속적인 사후관리를 위한 정부차원에서의 법령개정 및 예산확보를 통해 어도의 지속적인 점검 및 관리가 이루어질 때 생물의 이동통로가 확보되어 횡구조 물에 의한 하천의 단절현상을 점차적으로 줄여 나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ere classified the type of fishway installed on the tributary of Nakdong River, and analyze the state was to establish a management plan. As a result showed low installation ratio of fishway which includes 9,164 weirs at the 786 streams of the tributary of Nakdong River and 1,263 fishways. The type of fishway is shown as 62% for standard type and 38% for non-standard type. Assessment results of fishway condition, the ones in good condition, moderate and poor condition fishways are examined as 28%, 66%, 6%, respectively. In the past, there happened to install the fishways without discussing with fishery research institution but it is judged to install the verified fishways through powerful legal remedy and enable each community to control the fishways voluntarily through the support of government after installing the fishways.

저자
  • 성진욱(금오공과대학교 환경공학과) | Seong, JinUk
  • 박정호(금오공과대학교 환경공학과) | Jeong-Ho Park
  • 김재옥(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Jae-ok Kim
  • 박제철(금오공과대학교 환경공학과) | Je-Chul Park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