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어류폐사의 발생 이후 하천에서 수질의 변화 및 어류상 회복 KCI 등재

Recovery of Fish Community and Water Quality in Streams Where Fish Kills have Occurre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276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생태와 환경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초록

본 논문은 최근 몇 년 동안 어류폐사가 발생했던 하천 인 월운천, 서천, 장남천 그리고 안양천을 대상으로 어종 의 변동을 조사하였다. 어류폐사의 영향을 받은 지역에서 종수의 회복률은 22~86%까지 이르렀는데, 인공구조물 과 수질에 의한 영향을 받았다. 장남천에서는 알칼리성 pH로 인해 어류폐사가 발생하였으나 다른 두 하천(월운 천, 서천)에 비해 수질의 회복 이후 빠른 종수의 회복을 보였다. 또한, 안양천에서의 낮은 종수는 간헐적으로 발 생하는 용존산소고갈로 인한 수질악화의 영향이 크다. 이 와 더불어 하천에 설치되어 있는 인공구조물은 특히 저 서성 어종의 회복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 났다. 수질 또는 어류개체군의 이동이 회복될 때 어종의 빠른 회복이 예상되지만, 여전히 많은 하천에서 수질의 악화현상과 일부 노후화한 인공구조물의 존재는 어류의 서식환경을 악화시킬 수 있고 어류폐사 이후 하천에서 어종의 회복을 지연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하천에서 어류군집의 보존을 위해서는 어류의 이동을 위한 통로와 유역으로부터의 오염원의 유입을 관리하여야 한다.

The species composition of the fish community was studied in four streams where fish kills have previously occurred in recent years; Worun Stream, Seo Stream, Jangnam Stream, and the Anyang Stream. The number of fish species varied from 22 to 86% compared to the number of fish species pre-fish kill. The recovery of fish populations in the streams seems to be determined by water quality and the presence of artificial structures in the streams. The Jangnam Stream, where alkaline pH caused a fish kill, showed a high recovery of fish species due to improvements in water quality. Anyang Stream had a low number of species, possibly because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s were intermittently low. Artificial structures in streams had a negative impact the recovery of fish species, particularly for benthic fish species. It appears that fish populations can recover rapidly when water quality improves or the movement of fish community is unimpeded. However, water quality and artificial structures in many streams in Korea still present adverse conditions for fish survival, deterring the recovery of fish populations. To conserve fish populations in streams, habitat all owing unimpeded movement for fish and controls on pollutant inputs are needed.

저자
  • 이재용(강원대학교 환경학과) | Lee, Jae-Yong
  • 이광열(강원대학교 생명과학과) | Kwang-yeol Lee
  • 이새로미(강원대학교 환경학과) | Saeromi Lee
  • 최재석(강원대학교 환경연구소) | Jaeseok Choi
  • 이석종(강원도 보건환경연구원) | Seok-Jong Lee
  • 정성민(강원대학교 환경학과) | Sungmin Jung
  • 정명숙(국립환경과학원) | Myoung-Sook Jung
  • 김범철(강원대학교 환경학과) | Bomchul Ki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