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푸코(Michel Foucault)의 권력이론으로 본 사회복지 클라이언트의 주체화 문제 : 영화 <완득이>에 대한 비판사회복지학적 접근 KCI 등재

A Foucaultian Approach to the Subjectivation of Welfare Clients and Critical Social Work Practice: A Case of the Movie Wan-deuk-yi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297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100원
융합인문학 (Korean Journal of Converging Humanities)
한국융합인문학회 (Korean Association of Converging Humanities)
초록

이 논문은 미디어 속에 내포된 복지철학적 이슈, 즉 클라이언트(client, 예컨대 사회 적 약자나 취약계층)의 주체화 문제를 복지이론적으로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푸코(Michel Foucault)의 권력이론—대표적 비판사회이론의 하나로 꼽히는—에 입각하여 영화 <완득이>를 분석한다. 이 논문에서 영화 <완득이> 를 분석대상으로 삼은 건, 이 영화가 클라이언트를 ‘시혜의 대상’(객체)으로만 인식하 는 기존의 인식(주류사회의 시각)을 거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주로 미디어 에 대한 비판사회복지학적 분석을 수행하고 있는데, 그 핵심 주장은 주류사회의 비가 시적이고 미시적인 권력 작용이 복지서비스에서 클라이언트의 객체화를 야기하고 있 다는 것이다. 쉽게 말해, 복지서비스가 본디 클라이언트를 위해 존재함에도 정작 복지 서비스의 제공과정에서 클라이언트는 자기결정권과 선택권을 거의 갖지 못한 채 주변 적 존재로 머물러 있다는 것이다. 이 논문은 이 같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대략 두가지 실천전략을 제시한다. 첫째, 권력은 잘 사용할 경우 부조리한 현실을 조금이라도 개선할 수 있는 강력한 무기가 될 수 있는 만큼, 실천현장에서 사회복지사의 권력이 클라이언트를 옹호하고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권·선택권을 강화하는 데 쓰일 수 있도 록 윤리적·제도적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둘째, 미디어를 통한 사회적 인식의 재 고와 변화를 꾀함으로써 단기적으로는 실천현장에서 클라이언트의 주체화를 도모하 고, 장기적으로는 우리사회에서 사회권의 실체적 권리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회 적 분위기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

The paper aims to theoretically explore the subjectivation of clients in social work practice in the mass media. To do this, the paper analyzes the movie Wan-deuk-yi on the basis of Michel Foucault’s theory of power, a distinguished approach in critical social theories. The paper uses the movie Wan-deuk-yi as a subject of analysis, because the movie does not accept conventional wisdom (i.e. a viewpoint of the mainstream society) that clients are just beneficiaries of welfare services. The essential work of the paper is a Foucaultian approach to the mass media relating to social work practice, and the important point is that the exercise of invisible/microscopic power by the mainstream society generates the objectivation of clients in social work practice. That is to say, the paper indicates that clients actually lose control of social work practice with having no self-determination and choice in welfare services in spite of the fact that social work practice is for clients by its very nature. To overturn the objectivation of clients in social work practice, the paper offer a discussion of two practical strategies. First, some kind of ethical/legal mechanism is needed to ask social workers to use their professional power for advocating and consolidating clients’ self-determination in social work practice. Because power could be an efficacious weapon to ameliorate social irrationalities as long as power could be used for the right direction. Second, there is necessary to restate our previous social perceptions on social work practice, “Clients are just the object of welfare,” through the mass media. That would on the one hand secure the self-determination and choice of clients in the field of social work, and on the other foster social atmospheres to enhance the social right as a substantive right in our society.

저자
  • 권미영(중앙대학교 대학원) | Mi-Young Kwon
  • 박보영(극동대학교) | Bo-Young Park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