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도시상록조경수의탄소저장및흡수 KCI 등재

Carbon Storage and Uptake by Evergreen Trees for Urban Landscap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298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본 연구는 도시의 주요 상록 조경수종인 소나무와 잣나무를 대상으로, 직접수확법을 통해 탄소저장 및 흡수를 용이하게 추정하는 회귀모델을 제시하고 도시수목의 탄소저감 효과를 계량화하는데 필요한 기반정보를 구축하였다. 수종별로 유목에서 성목에 이르는 일정 간격의 흉고직경 크기를 고려하여 개방 생장하는 조경수목을 구입한 후, 근굴취를 포함하는 직접수확법에 의해 개체당 부위별 및 전체 생체량을 측정하고 탄소저장량을 산출하였다. 또한, 흉고 부위의 수간원판을 채취하여 직경생장을 분석하고 탄소흡수량을 산정하였다. 흉고직경을 독립변수로 생장에 따른 수종별 단목의 탄소저장 및 흡수를 계량화하는 활용 용이한 회귀모델을 유도하였다. 이들 회귀식의 r2는 0.98 이상으로서 적합도가 상당히 높았다. 동일 직경의 탄소저장 및 흡수량은 유목의 경우 소나무가 잣나무보다 더 많았으나, 20㎝ 이상 성목의 경우 생장량 차이에 기인하여 그 반대인 경향을 보였다. 흉고직경 25㎝인 소나무와 잣나무는 각각 115.6㎏, 130.0㎏의 탄소를 저장하고, 연간 9.4㎏, 14.6㎏의 탄소를 흡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조경수목의 직접 벌목 및 근굴취의난이성에 기인하여, 생체량 확장계수, 지하부/지상부 비율, 직경생장 등 산림수목의 계수를 대용하여 대상수종의 탄소저감을 계량화한 기존 연구의 한계성을 극복할 새로운 초석을 마련하였다.

This study generated regression models through a direct harvesting method to estimate carbon storage and uptake by Pinus densiflora and Pinus koraiensis, the major evergreen tree species in urban landscape, and established essential information to quantify carbon reduction by urban trees. Open-grown landscape tree individuals for each species were sampled reflecting various diameter sizes at a given interval. The study measured biomass for each part including the roots of sample trees to compute the total carbon storage per tree. Annual carbon uptake per tree was quantified by analyzing radial growth rates of stem samples at breast height. The study then derived a regression model easily applicable in estimating carbon storage and uptake per tree for the two species by using diameter at breast height (DBH) as an independent variable. All the regression models showed high fitness with r2 values of higher than 0.98. While carbon storage and uptake by young trees tended to be greater for P. densiflora than for P. koraiensis in the same diameter sizes, those by mature trees with DBH sizes of larger than 20 ㎝showed results to the contrary due to a difference in growth rates. A tree of P. densiflora and P. koraiensis with DBH of 25 ㎝stored 115.6 ㎏and 130.0 ㎏of carbon, respectively, and annually sequestered 9.4 ㎏and 14.6 ㎏. The study has broken new grounds to overcome limitations of the past studies which quantified carbon reduction of the study species by substituting, due to a difficulty in direct cutting and root digging of landscape trees, coefficients from forest trees such as biomass expansion factors, ratios of below ground/above ground biomass, and diameter growth rates.

저자
  • 조현길(강원대학교 조경학과) | Hyun-Kil Jo 교신저자
  • 김진영(강원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Jin-Young Kim
  • 박혜미(강원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Hye-Mi P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