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RUSLE 모형을이용한경주국립공원의토양침식위험지역추정 KCI 등재

Estimation of Danger Zone by Soil Erosion Using RUSLE Model in Gyeongju National Park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298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본 연구는 경주국립공원 전체 지구를 대상으로 토양침식에 대해 RUSLE 기법을 활용하여 잠재적 토양유실량과 침식위험도를 파악함으로써 토양생태계의 지속적인 보전과 더불어 재해방지 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연평균 토양침식량 분석 결과, 전체 지구의 평균 토양침식량은 5.7ton/ha/yr로 나타났으며, 지구별로 남산 지구가 7.6ton/ha/yr로 가장 높았고 서악 지구가 2.1ton/ha/yr로 가장 낮았다. 토양침식위험등급 지역은 1% 미만으로 분석되었으며, 구미산 지구와 화랑 지구는 심각한 지역이 없었다. 그러나 남산 지구는 심각한 지역이 다른 지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금오봉 일대에 집중되어 있었다. 따라서 금오봉 일대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복원 및 관리방안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경주국립공원의 토지피복형태는 대부분 산림지역으로 나타났으며, 평균 토양침식량이 3.7ton/ha/yr로 양호한 수준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형에 따른 토양침식량 분석 결과, 깊은 계곡이 단위면적 당 7.3ton/ha/yr로 나타났으며, 다음이 평탄곡지로 6.1ton/ha/yr로 분석되었다. 평탄지와 산정능선은 토양침식이 적게 발생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향후, 국내국립공원의 토양유실량을 분석한다면, 전체 국립공원의 토양생태계를 보전 및 복원할 수 있는 계획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the raw data for establishing the plan of disaster prevention and the continuous conservation of soil ecosystem by grasping the potential soil loss and the danger of erosion using RUSLE method on whole districts in Gyeongju National Park, Korea . In the results of the average amount of soil erosion for the year, the average of all districts was 5.7 ton/ha in annual, and Namsan district was the highest in 7.6 ton/ha in annual and Seoak district was the lowest in 2.1 ton/ha in annual. The dangerous district due to the soil erosion was analyzed as under 1%, and Gumisan and Hwarange district was not serious. But Namsan district was higher than others, especially, there was intensive in all over Geumohbong. Therefore, to protect the all over Geumohbong, we will establish the valid of restoration and management. The types of land cover in Gyeongju National Park mostly showed forest, and as the average amount of soil erosion in forest was 3.7 ton/ha in annual, there was good condition. In the results of the amount of soil erosion due to landform, the deep canyon showed as 7.3 ton/ha in annual per unit area, secondly, the U-shaped valley was analyzed as 6.1 ton/ha in annual. The plain and high ridge were predicted that there occurred the small amount of soil erosion. In future, if we will analyze the amount of soil erosion in Korean National Parks, we will offer the help to establishing the plan of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n soil ecosystem in whole National Parks.

저자
  • 최철현(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Chul-Hyun Choi
  • 유주한(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조경학과) | Ju-Han You 교신저자
  • 정성관(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Sung-Gwan J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