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3

        1.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충청북도 충주중원문화재단이 개최하는 충주문화재야행의 발전 방향과 지속가능성을 문헌연구와 사례 연구를 통해 살펴보는 것이다. 충주문화재야행은 여타 지자체와는 달리 충주중원문화재단 에서 직접 기획하고 전체 운영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지자체의 의지와 지역문화재단의 역할을 함께 도모해 볼 수 있다는 점은 중요한 부분이다. 충주문화재야행은 2021년에 문화재 야행 사업으로 선정되어 2022년에 이어 2023년까지 3회 연속 진행되었다. 충주시 소재 유무형 역사 문화재를 중심으로 한 지역의 문화유산을 활용한 문화사업을 추진하여 충주시의 역사적, 지리적 문화재에 대한 이해도를 증진시키고 충주지역의 역사문화 우수성을 널리 알리 려는 목적이 있다. 야행의 주요 프로그램은 테마별로 야경(夜景), 야로(夜路), 야사(夜史), 야설(夜說), 야화(夜畵), 야식(夜食), 야시(夜市), 야 숙(夜宿)까지 총 8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충주중원문화재단의 충주문화재야행은 문화재청에서 시행하 는 충북지역 문화유산 야행 사업으로 선정되었고, 지역을 대표 할 수 있는 야간특화 프로그램으로 활성화할 기회가 되었다는 점에서 전반적인 사항을 재검토할 때가 되었다. 충주문화재야 행을 통해 그 지속가능성을 살펴서 야행으로서의 미래가치와 고품격 문화유산 야행으로서의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충주문화재야행 프로그램에 대한 방문객의 반응 과 만족도를 조사하여, 충주문화재 야간관광 프로그램을 다른 지역과 차별화할 수 있도록 개선,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5,400원
        3.
        2024.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무형문화재 분야는 AI 스마트 음성 대화 기술 활용에 중요한 분야 중 하나이다. AI 스마트 음성 대화 기술은 무형문화재의 계승과 보호에 기 술 지원을 제공하며 무형문화재의 보급과 촉진을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 공한다. 본 연구는 통합기술수용모형2(UTAUT2)와 기술준비도(TRI) 모형 을 기반으로 의인성 인지, 관계성 인지 변수를 도입하여 무형문화재 앱 AI 스마트 음성 대화 이용자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행동의 요인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무형문화재의 보급, 전시를 위한 이론적 근거 와 실천적 지침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무형문화재 AI 스마트 음성 대화 앱을 사용하는 이용자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정량적 데이터 분 석 방법으로 탐색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높은 노력 기대, 성과 기대, 촉진 조건, 사회적 영향, 쾌락적 동기, 혁신성, 낙관성 및 관계성 인지가 이용자의 사용 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 궁극적으로 이용자 의 사용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증명한다. 반면 높은 불편감, 불 안감, 의인성 인지는 이용자의 사용 의도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 고 이용자의 사용 행동을 자극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음을 증명한다. 또 한, 가격 가치는 사용 의도와 사용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10,700원
        4.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ultural heritage of fortresses is often exposed to external elements, leading to significant damage from stone weathering and natural disasters.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cultural heritage, dismantling and restoration are often impractical. Therefore, the stability of fortress cultural heritage was evaluated through non-destructive testing. The durability of masonry cultural heritages is greatly influenced by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back-fille material. Dynamic characteristics were assessed, and endoscopy was used to inspect internal fillings. Additionally, a finite element analysis model was developed considering the surrounding ground through elastic wave exploration.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loss of internal fillings in the target cultural heritage site could lead to further deformation in the future, emphasizing the need for careful observation.
        4,200원
        7.
        202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damage to cultural assets resulting from vibrations generated by construction vehicle traffic. The cultural heritage's natural vibration frequency was determined to be 150Hz by measurement. The damping ratios were calculated as 4.7% using the logarithmic decrement approach and 4.3% using the half-power method. The vibration measurements obtained during vehicle operation indicated that, despite an increase in vehicle velocity of up to 15 km/h, the vibrations remained below the detectable level of 0.13 mm/sec. When the road is curved and the terrain is sloped, a suitable speed for vehicle operation was found to be around 17 km/h, at which point vibrations were seen. The highest recorded vibration amplitude at this velocity was 0.217 mm/sec, which remains below the stringent regulation limit of 2 mm/sec. Thu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re is no actual harm caused by vibrations.
        4,000원
        8.
        202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가유산으로 지정된 꼭두각시놀음 무형문화재 조 사보고서에 수록된 대본을 기준으로 주요 등장 인물, 꼭두각시, 박첨지, 홍동지, 평안감사, 동방삭의 성격과 역할을 분석한 것 으로, 조선 후기 다양한 사당패들에 의해 공연된 각기 서로 다 른 인형극이 옴니버스 형태로 융합되면서 형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64년 무형문화재로 지정받은 꼭두각시놀음은 조선 후기 꼭두각시, 박첨지, 홍동지, 평안감사를 중심인물로 공연된 인형극이 통합된 형태로 볼 수 있다. 둘째, 꼭두각시는 현모양처의 여성상을 대변하는 인물로 자 신의 삶을 주도적으로 결정하는 인물로 순종적이면서도 진취적 인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 셋째, 박첨지는 가부장적 남성 중심 사회에서 허세와 권위 의식에 사로잡힌 인물로, 권위주의적이고 남성중심적인 마초 (Macho) 문화를 상징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홍동지는 순박하고 어눌하지만 재리에 밝으며, 자신의 힘을 타인을 위해 사용하는 이타적인 인물로 민초들의 능동적 인 삶을 대변하고 있다. 다섯째, 평안감사는 부정부패의 무지몽매(無知蒙昧)한 권력층 을 상징하는 인물로, 효성이 지극한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 여섯째, 동방삭은 종교 지도자처럼 고난과 어려움을 위로하 는 역할을 하며, 껌벅이와 묵대사로 분화되면서 그의 매력적인 인물 특성은 사라진다. 본 연구 결과는 꼭두각시놀음의 주요 등장 인물들의 성격을 규명하고, 전통 인형극의 복원과 2차 창작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7,800원
        13.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ndol is a traditional underfloor heating system designated as a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Korea.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CHA) publishes a standard specification for the repair of cultural properties, including ondol. This standard specification is used as a guide for contractors who repair ondol in the field. However, the standard specification for ondol repair has some errors and is difficult to understand in the field. This paper proposes a revision of the standard specification for ondol repair. This study found that the standard specification for ondol repair has some problems in terms of the terminology and structure of ondol. These problems were sufficient to confuse ondol repairers in the field.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o revise the standard specification to correct these errors and make it easier for ondol repairers in the field to understand.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recognize and preserve ondol as a cultural property and not just as a building.
        4,000원
        16.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waebultaeng is a cultural property of painting, a large Buddhist painting used for special ceremonies in Buddhism. It is stored in an indoor temple environment, and there is a greater risk of contamination and damage due to environmental factors compared to other cultural properties. In 2021, the treasure Hanging Painting of Anguksa Temple and storage chest stored in Geungnakjeon Hall of Anguksa Temple in Muju-gun, Jeollabuk-do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one genus and three species fungi, one species bacteria were found on the surface of the painting. In addition, five genera and 11 species fungi, eight genera and 12 species bacteria were confirmed on the surface of the storage chest. Among them, the same three species of Aspergillus genus were identified in both Gwaebultaeng and the storage chest. These results suggest the possibility of introduction and spread from airborne fungi in the indoor air outside the chest. Among the identified microorganisms, one genus and two species fungi in Gwaebultaeng and three genera and four species fungi, four genera and five species bacteria were identified as those that could cause damage to the storage chest.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one species fungus in Gwaebultaeng and one genus and two species fungi could cause harm to the human bo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a basis for careful discussion and management regarding the storage of cultural properties in the future.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