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 국가이미지가 중국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Impact of Korea Country Image on the Chines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299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중경제문화연구 (Korea-China Economic & Cultural Review)
한중경제문화학회 (Korea-China Economic & Cultural District Association)
초록

본 연구는 중국에서 중요한 소비 계층으로 급성장하고 있는 중국 대도시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경제 발전, 교육수준, 제품품질, 기술연구, 생활수준, 민주 체제의 요소로 국가이미지를 측정하여 한국의 국가이미지가 중국 소비자의 식품, 의류패션, 생활용품, 음악제품, 자동차, 가전제품의 구매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국가이미지가 중국 소비자들의 제품별 구매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자제품을 제외한 식품, 생활용품, 의류패션, 음악제품, 자동차 구매시 한국의 국가 이미지가 중국 소비자들의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표본 구성의 한계로 인해 본 연구의 일반화에는 주의가 필요 하나 국가이미지의 각 구성 요소가 제품구매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여 국가 차원에서의 국가이미지 구축 전략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또 각 기업들이 자체적으로 중국시장에서의 브랜드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Country images of Korea based on economic development, education level, goods' quality, R&D, political democratization and quality of life, perceived by Chinese university students in Beijing, Shanghai and Shandong province of Chinese emerging markets as the representative of a potential buying power group, are surveyed, which, then are used to study how the perceived country images effect on their purchasing intention for Korean products, such as, foods, cars, fashions, music CDs, electronic products and living goods. The study shows that, in Chinese emerging markets, country image affects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each products differently.
The country image of Korea was influential on the Chinese students' purchasing intention for the goods cars, fashions, music CDs, electronic products and living goods. Despite the small number of the sample, this study showed the importance of country image in the in Chinese emerging markets and suggested the need for both the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 to take a strategy to enhance the country image by finding the relation between the elements of country image and the intention to purchase certain produc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 방법과 가설 설정
Ⅳ. 분석 결과
Ⅴ. 결 론
저자
  • 소수(Shandong University of Political Science and Law) | Su, Shu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