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CBCT 영상에서 구치부의 하악관 형태에 따른 재구성 방법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Appropriate Reconstruction of the CBCT Images of Mandibular Canal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306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한국방사선학회 (The Korea Society of Radiology)
초록

치과 방사선 검사 중 파노라마(panorama) 촬영은 왜곡현상이 발생하여 정량적인 평가 시 부정확한 결과를 야기할 수 있다. 최근 임상에 적용되고 있는 새로운 영상화 기법인 cone beam형 전산화단층촬영(이하 CBCT)은 고해상도의 영상과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본 실험에서는 DCT-90-P IMPLAGRAPHY Dental CT system (Vatech, Korea)을 사용하여 20명의 환자를 검사 하였고, 촬영조건은 관전압 85kVp, 관전류 7mA, 촬영시간은 24초이다. CBCT 데이터를 3차원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 용하여 재구성하고, 형태 계측학적으로 평가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하악체에 기울기에 따라 변화를 주었을 때, 하악관의 직경의 왜곡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피사체와 필름간의 거리가 클수록 확대가 많이 나타나고, 초점에서 벗어난 거리에 따라 영상이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재구성시 해부학적 위치의 구조에 맞게 부분적으로 알맞은 방법을 채택을 해야 하는 것 으로 사료된다.

In dental radiography, panoramic views cause distortion and thus may bring about inaccurate results in the process of quantitative analysis. In this connection, there has recently been an increasing use of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that is known to provide high-resolution images and positional information. In this study, a dental computed tomography unit, ‘DCT-90-P IMPLAGRAPHY (Vatech, Korea)’, was applied to 20 patients for 24 seconds respectively, with a tube voltage of 85kVp and a tube current of 7mA. The data of CBCT were three-dimensionally reconstructed by use of a computer program, and were histomorphometrically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ameter of mandibular canal is less distorted at a certain inclination of the mandibular body. The image tends to seem more distended in proportion to the distance between the subject and film. Also, the image tends to be affected according as it is out of focus. In conclusion, it requires that the image should be reconstructed in light of anatomic position and structure.

저자
  • 정천수(예닮치과병원, 전북대학교 방사선과학기술학과) | Cheonsoo Jeong
  • 모은희(전북대학교 방사선과학기술학과) | Eunhee Mo
  • 이기흔(전북대학교 방사선과학기술학과) | Geeheun Lee
  • 한범희(서남대학교 방사선학과) | Beomhee Han
  • 김승철(송호대학교 방사선과) | Seungchul Kim
  • 김정삼(목포과학대학교 방사선과) | Jungsam Kim
  • 임청환(한서대학교 방사선학과) | Cheonghwan Li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