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방사선학적 중재적 시술은 순환기계 또는 소화기계 병변의 진단 및 치료 목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 나 시술과정에서 방출되는 방사선은 환자뿐만 아니라 의료진에게도 잠재적인 위험요소로 인식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 는 납유리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방사선 피폭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며 납유리의 설치 전후의 방사선 피폭량 측정을 통 해 차폐 성능과 방사선 장해 관리를 용이하게 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10년 9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S병원에서 방사선학적 중재적 시술을 시행한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 차폐를 위한 납유리는 납당량 1.6mmPb, 폭 100 cm, 두께 0.8cm 높이 100cm로 구성되어 있으며 환자 와 시술자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였다. 방사선량의 측정은 X-선관구로부터 50 cm, 150 cm의 거리에서 신체 부위(머 리, 가슴, 골반)에 따른 방사선 피폭량을 차폐 전후로 각각 측정하였다. 결과 : 30명 중 남자 13명, 여자 17명이었으며 평균연령은 69세였다. 환자의 평균신장은 159.7 ± 6.7 cm였으며 체 중은 60.3 ± 5.9 kg이었으며 평균 체질량지수는 20.5 ± 3.0 kg/m2였다. X-선관구로부터의 출력량은 환자 개개인의 체질량지수와 강한 양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었다(r=0.749, p=0.001). X-선관구로부터 50 cm에서의 방사선 피폭량 은 차폐 전 1530.2 ± 550.0 mR/hr, 차폐 후 50.3 ± 85.2 mR/hr로 감소하였으며 150 cm에서의 방사선 피폭량은 차폐 전 170.6 ± 60.1 mR/hr, 차폐 후 9.4 ± 8.0 mR/hr로 감소하였다. 차폐용 납유리의 사용은 머리, 가슴, 골반부위 모두 에서 방사선 피폭량을 통계학적으로 의미있게 감소시켰다(p=0.0001). 결론 : 차폐용 납유리의 사용은 방사선피폭량을 감소시켰다. 의료진은 개인방호뿐만 아니라 X-선관구로부터의 원 천적인 방호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하겠다.
Background/Aims : The increasing use of diagnostic and therapeutic interventional radiology calls for greater consideration of radiation exposure risk to radiologist and radiological technician, and emphasizes the proper system of radiation protection.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the effect of a protective grass shield. Methods : A protective grass was following data depth, 0.8 cm; width, 100 cm; length, 100 cm, lead equivalent, 1.6 mmPb. The protective shield was located between the patient and the radiologist. Thirty patients (13 male and 17 female) undergoing interventional radiology between September 2010 and December 2010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dose of radiation exposure was recorded with or without the protective grass shield at the level of the head, chest, and pelvis. The measurement was made at 50 cm and 150 cm from the radiation source. Results : The mean patient age was 69 years. The mean patient height and weight was 159.7 ± 6.7 cm and 60.3 ± 5.9 kg, respectively. The mean body mass index (BMI) was 20.5 ± 3.0 kg/m2. radiologists received 1530.2 ± 550.0 mR/hr without the protective lead shield. At the same distance, radiation exposure was significantly reduced to 50.3±85.2 mR/hr with the protective lead shield (p-value<0.0001). The radiation exposure to radiologist and radiological technician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the use of a protective lead shield (p value <0.0001). The amount of radiation exposure during interventional radiology was related to the patient’ BMI (r=0.749, p=0.001). Conclusions : This protective shield grass is effective in protecting radiologist and radiological technician from radiation expos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