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동결건조 쑥을 첨가한 베샤멜 소스의 품질 및 관능적 특성 KCI 등재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echamel Sauce with Freeze-Dried Mugwor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344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식품영양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한국식품영양학회 (The Korean Society of Food and Nutrition)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서양요리의 가장 기본이 되는 소스 중에 하 나인 베샤멜 소스에 우리나라 봄철에 손쉽게 얻을 수 있고, 다양한 기능성과 향리활성 물질을 가지고 있는 쑥을 동결건 조하여 소스에 첨가하여 최적의 첨가비율과 레시피를 알아 보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시료로서 쑥을 밀가루 대비로 5, 10, 15, 20%를 첨가한 후 베샤멜 소스를 제조한 뒤, 기계적 검사(수분 함량, pH, 색도, 점도, 환원당, 항산화성)와 미생물 검사 및 관능검사를 실시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되 었다. 동결건조한 쑥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베샤멜 소 스의 수분, pH, 색도를 측정한 결과는 수분은 대조군이 83.56% 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pH측정 결과는 쑥을 20% 첨가한 것 이 6.51로 가장 낮았다. 색도 중 명도와 적색도 모두 시료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p>0.001)으로 낮아졌다. 황색도 b값은 쑥 20%를 첨가한 것이 35.8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점 도는 대조군이 64.45 cp로 가장 낮았으며, 환원당은 대조군이 416.66 ㎎/㎖로 가장 낮았다. 총 균수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저장 3일이 될 때까지 미생물이 검출되지 않았다. 저장 5일에 0%를 첨가한 대조군이 2.5×103 CFU/㎖이었고, 10% 첨가군까 지 1.6×102 CFU/㎖ 미생물이 검출되었으며, 15%, 20% 첨가군 에서는 검출이 되지 않았다. 저장 7일에는 모든 첨가군에서 미생물이 검출이 되었으며, 20% 첨가군은 1.1×103 CFU/㎖로 미생물이 가장 적게 검출되었다. 10, 15일에서도 쑥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미생물 총 균수의 검출이 적게 나타났다. 쑥을 첨 가한 베샤멜 소스의 DPPH 유리기 소거능 결과는 쑥의 첨가 량이 많아질수록 DPPH 유리기 소거능이 증가하였다. 관능검 사 부분은 색, 향, 맛 등과 전반적인 기호도 면에서 10% 쑥을 첨가한 베샤멜 소스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 라 베샤멜 소스 제조 시에 동결건조한 쑥을 첨가함에 따라 저 장성 및 항산화성 향상에 도움이 되었으며 관능적으로 10% 첨가군에서 대조군보다 높은 점수를 받은 점으로 보아, 앞으 로 소스에 부재료의 첨가제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엿볼 수 있 었다. 또한 서양의 향신료의 대체제로서의 활용과 쑥의 소비 촉진의 가능성이 높다고 사료된다.

As a result of the sensory test for Bechamel Sauce being prepared by varying the amount of frozen-dry mugwort, the moisture content was the highest at 83.56% in the control group and the lowest at 76.18% in the one containing 20% of mugwort. The pH level decreased significantly (p>0.001) as the addition of specimen increased. In case of color, the brightness (L) and redness (a) were highest at 81.54 and -0.85 within the control group, and the yellowness (b) was highest at 35.82 for the one containing 20% of mugwort. The viscosity was the lowest at 64.45 cp for the control group and 138.45 cp for the Bechamel Sauce containing 20% of mugwort. Reduced sugar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0.001) with the addition of specimen. The results of change in the total number of bacteria showed that there was no microorganism until the third day of storage. On the fifth day, the groups with up to 10% mugwort showed 1.6×102 CFU/㎖ microorganisms and the groups containing 15% and 20% of mugwort were free of microorganisms. All groups contained microorganisms on the seventh day of storage, but the groups with greater mugwort contents showed smaller number of microorganisms on the fifth and tenth days. Taking into acoount the DPPH free radical removal of brown sauce containing mugwort, the removal increased with greater mugwort content. In terms of preference test, the color was 3.5 for the control group without the mugwort and the taste was highest at 5.1 with 10% of mugwort. The group containing 15% of mugwort received the highest score (4.6) for the after taste and the viscosity was the lowest at 2.7 for the group containing 20% of mugwort. Overall acceptability was the highest at 5.3 for the group containing 10% of mugwort and the lowest for the group containing 20% of mugwort.

저자
  • 김세한(경기대학교 외식조리관리학과) | Se-Han Kim Corresponding author
  • 박기봉(문경대학교 호텔조리제빵학과) | Ki-Bong Park
  • 조성현(세종대학교 조리외식경영학과) | Sung-Hyun C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