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맘퀴스트 생산성 지수를 이용한 원예특용작물분야 농업 R&D 투자 생산성 분석 KCI 등재

Productivity Growth, Efficiency Change and Technological Progress in Horticultural & Herbal R&D : A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Approach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362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초록

농업 R&D 투자의 연구생산성 변화에 대한 기여도를 분석 하기 위해 비모수적 방법인 자료포락분석법을 이용하고 기술 효율성 변화와 기술수준 변화를 계측해 생산성 변화요인을 확 인하는 맘퀴스트 생산성지수 분석방법을 적용하였다. 분석에 이용된 자료는 2007년부터 2011년까지 5개년간 국립원예특작 과학원에서 수행한 연구과제의 연구비와 그 연구의 결과로 생 성된 논문 (SCI, 비SCI), 산업재산권 출원, 영농활용, 정책제안, 품종육성 등 6개의 성과물을 대상으로 하였다. 투입요소는 국 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수행한 연구비 총액이고, 산출요소는 6 개의 성과물을 기준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불변규모(CRS)를 가정한 후에 자료포락분석법을 이용해 거 리함수를 계산한 결과 영농활용이 1.000으로 가장 효율적인 성과로 분석되었고, 비SCI논문이 0.671, SCI논문이 0.343, 품 종육성이 0.301, 정책제안이 0.288, 산업재산권이 0.251 순으 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판단해 볼 때 연구성과 효율성 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연구과제 특성에 따른 목표설정 및 재원배분, 인력, 시설, 장비 등의 추가적인 투자가 필요하다. 거리함수를 이용해 맘퀴스트 생산성지수를 도출한 결과 2007년부터 2011년까지 5개년간 원예특용작물분야 농업 R&D 투자로 인한 연구성과의 생산성은 연평균 17.5%가 향상되었 다. SCI논문이 39.4%로 가장 높은 생산성 증가율을 나타냈으 며, 산업재산권 출원이 27.8%, 정책제안이 17.4%, 영농활용이 16.8%, 품종육성이 6.3%, 비SCI논문이 1.1%의 성장률을 나타 냈다. 표본기간 동안의 기술효율성의 연평균 변화율은 0.6%로 나타났고, 기술수준의 변화는 16.8% 향상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기술효율성 변화의 두 요소인 순수효율성과 규모 효율성 변화는 불변규모를 가정한 관계로 규모효율성의 변화 가 없어 기술효율성의 변화는 순수효율성 변화와 동일한 값을 보여주고 있다. 결과적으로 5개년간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 투자한 농업 R&D는 17.5%의 생산성 향상을 가져왔고, 연평균 성장률에 대한 기여가 0.6%인 기술효율성 변화보다는 16.8%인 기술수 준의 변화가 더 큰 기여를 하였다. 이는 원예특용작물분야 농 업 R&D 투자로 인한 성과의 생산성 향상에 기술효율성의 개 선보다는 기술진보가 훨씬 큰 기여를 하였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개별 연구성과의 효율성 개선보다는 연구능력 향상, 우수인력 유치, 시설 확대 등 기술혁신을 일으킬 수 있는 요 소에 대한 투자가 우선되어야 하며, 생산성 향상을 유도하는 투자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의미한다. 다만 본 연구에서는 R&D 투자 시점부터 연구성과가 발생하기까지의 시차와 개별 연구성과에 대한 투자규모가 다른 점을 고려하지 않았으며 향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밝 혀둔다.

Data Envelope Analysis(DEA) which is a kind of nonparametric statistical analysis, and Malmquist productivity index(MPI) to ascertain a factor on the productivity change with technical efficiency and technical level were used to analysis the contributiveness of R&D investment on agricultural productivity change. Data used to the analysis were results like papers, industrial property right applications, policy suggestions, farming practical uses and seeds derived from the researches and research funds of all research subjects conducted by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for 5yrs from 2007 to 2011. The distance function of farming practical use by DEA assumed with CRS was 1.000 which means to have the technical efficiency completely. The distance function on non SCI paper was 0.671 and more efficient than other results like SCI paper, breed development, policy suggestion and industrial property right application. As MPI built by the distance functions for 5yrs was 1.175, it means that the productivity of results on R&D investment is increased by 17.5%. The productivity of SCI paper was improved by 39.4% being the highest increase value. The productivity of other results like industrial property right application, policy suggestion, farming practical use, breed development and non SCI paper on R&D investment were increased by 27.8%, 17.4%, 16.8%, 6.3%, 1.1% respectively. The average change rate per year on technical efficiency for sample period was 0.6%, and it on technical level was 16.8%. These rates mean that the contributiveness of technical level change on the productivity increase caused from R&D investment is very higher than technical efficiency change. Also, those imply that a proper method to increase the agricultural productivity by R&D investment for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discipline is a technical innovation than an improvement of technical efficiency. Consequently, the R&D investment for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discipline creates the productivity increase of research results, and the investment for elements making technical innovation like human resources, equipment etc. should be placed ahead of an improvement of efficiency by results

저자
  • 조남준(국립농업과학원 화학물질안전과) | Nam-Jun Cho
  • 허승오(농촌진흥청 연구정책과) | Seung-Oh Hur Corresponding author
  • 조근태(성균관대학교 시스템경영공학과) | Keun Tae C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