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실내 벽면녹화용 관엽식물의 생장에 적합한 인공배지의 선발 KCI 등재

Selection of Artificial Media Suitable for the Growth of Foliage Plants for Indoor Vertical Garde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365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화훼연구 (Flower Research Journal)
한국화훼학회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다양한 인공 배양토를 조합한 배지를 사용하여 이 에 따른 실내식물의 생육반응을 알아보고 실내 벽면녹화에 최적 의 배지를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벽면녹화의 경우 식물의 수직식재, 식재공간의 협소 등의 특수성을 고려하면 배지가 가볍 고 보수력과 보비력이 높은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실험에 사 용된 배지의 물리성과 화학성의 측정 결과로부터 벽면녹화에 적 합한 배지는 고형율이 가장 낮고 최대용수량이 가장 높으며 CEC가 비교적 높은 배지3으로 판단되었다. 무늬산호수의 경우 엽수를 제외하면 초장, 엽수, 엽장, 엽폭, 측지수 등의 생육은 배 지 간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반적 인 생육상황과 배지의 물리, 화학적인 특성을 고려할 때 배지3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되었다. 오색마삭줄의 경우 무늬 산호수와 마찬가지로 초장, 엽수, 엽장, 엽폭, 측지수 등의 전반 적인 생육상황과 배지의 물리, 화학적인 특성을 고려할 때 배지3 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되었다. 금사철의 경우는 무늬산호수와 오색 마삭줄과는 달리 초장, 엽수, 엽장, 엽폭, 측지수 등에서 전반적 으로 생육이 양호한 배지8이 가장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의 결과로부터 배지에 따라 식물의 생육반응이 다른 것은 각 식물의 생육 습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식물별 적합한 토 양이 다르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벽면녹화용 식물에 대해서 적합한 토양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the optimal medium for indoor vertical garden through diverse medium combinations of artificial soil and to investigate plant growth response in the medium. Vertical garden is particularly required the lightweight, high water holding capacity, and nutrient holding capacity on account of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vertical planting and the lack of planting space. Therefore, the medium 3, which was showed the lowest solids ratio, the highest maximum water holding capacity and CEC in the result of measuring the physical-chemical of the medium, was regarded as the optimal medium for vertical garden. Although Ardisia pusilla Tiny Ardisia showed statistically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ediums except for leaf number, its growth condition was very excellent in the medium 3 and the characteristics of physical and chemical of the medium were appropriate to Ardisia pusilla Tiny Ardisia. In Trachelosprum asiaticum var. intermedium Nakai Chinese Ivy, its growth conditions (plant height, leaf number, leaf stalk, leaf width, and lateral branch number etc) were also showed definitely excellent in the medium 3 in comparison with other mediums in the like sort of the result of Ardisia pusilla Tiny Ardisia. Euonymus japonicas Goldheart Enymus appeared to be desirable to the medium 8 rather than the medium3.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difference of each plant growth response resulted from each plant growth habit according to medium combinations and appropriate medium for each plant was certainly different. For completing this study, appropriate mediums for various indoor vertical gardens should be developed and demonstrated by diverse medium combinations.

저자
  • 장태경(경북대학교 원예과학과) | Tae Kyung Jang
  • 김홍열(경북대학교 원예과학과) | Hong Yul Kim
  • 임기병(경북대학교 원예과학과) | Ki-Byung Li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