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인공광원의 종류에 따른 실내 Plectranthus amboinicus와 Fittonia albivernis의 생장반응 KCI 등재

Growth Responses of Interior Plectranthus amboinicus and Fittonia albivernis Influenced by Different Artificial Light Sourc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367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화훼연구 (Flower Research Journal)
한국화훼학회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초록

실내에서 식물의 생육과 관상가치를 정상적으로 유 지하기 위해서는 적정광량을 공급해야 하는데, 자연광 만으로는 광보상점 이하인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실내식물의 생장을 위한 보광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형광등(FL), 발광다이오드(LED), 고압나트륨램프(HPS), 메탈할라이드램프(MH) 및 수은등(MC)과 같은 다양한 인공광원의 단독 및 혼합 스펙트럼을 분석하였고, 이들 광원이 Plectranthus amboinicus(장미허브)와 Fittonia albivernis(붉은줄무늬피토니아)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을 구명하였다. 광원별 스펙트럼을 분석한 결과 청색광, 녹색광, 적색광, 원적색광의 분포가 다양했는데, 이 차 이가 처리 3개월 후 식물의 생장반응에 영향을 주었다. P. amboinicus의 경우, 초장은 FL bulb와 HL 혼합광 하에서 가장 컸으며 FL tube + LED bulb, LED (tube + bulb), MH 및 MC 처리구와 유의차가 없었 다. 측지의 신장은 인공광원에 관계없이 모든 처리구 에서 나타났다. 총 측지수는 FL bulb + HL 하에서 9.9개였으며 그 중 2cm 미만의 측지가 6.6개로 가장 많았다. 한편 초장이 8.5cm 전후였던 FL tube, LED tube, LED bulb, HPS 하에서는 2cm 이상의 측지수 가 많아 식물체의 균형과 볼륨감이 향상되었다(Fig. 3). MH 단독광 하에서는 정아뿐만 아니라 측지도 신장되 었다. 엽록소 함량(SPAD)은 LED(tube + bulb), FL tube + LED bulb 처리구에서 다소 낮았다. 생체중은 FL bulb + HL, LED bulb, MH 처리구에서 가장 컸 으며 건물중은 MH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생체중과 함수율을 고려한다면 MH 단독광에서 P. amboinicus의 생육이 가장 양호하였다. F. albivernis의 초장은 광원 별 큰 차이는 없었으나 LED tube 하에서 가장 컸고 MH 처리구에서 가장 작았다. 엽형지수는 LED tube 처리구에서 컸으며, MH 및 FL tube + LED bulb 처 리구와 유의차가 있었다. 엽록소함량은 MH 처리구에 서 가장 낮았다. 결론적으로, 같은 광도이지만 광질이 다른 광원 하에서 식물은 다른 반응을 나타냈으며, 그 반응은 식물의 종류에 따라서도 달라졌다.

In order to normally maintain the growth and development, and ornamental value of plants growing indoors, the optimal irradiation has to be supplied because natural light intensity would be below their light compensation point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light spectra of single or mixed lights from various artificial light sources such as fluorescent lamp (FL), light-emitting diode (LED), high pressure sodium lamp (HPS), metal halide lamp (MH), and mercury lamp (MC) as supplemental light sources for plants growing indoors. Also,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se light sources with same light intensity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Plectranthus amboinicus (vicks plant) and Fittonia albivernis. Artificial light sources used in this study had diverse spectra with different ratios of blue, green, red, and far-red lights, and those differences induced different responses on plant growth at three months after lighting treatment. In P. amboinicus, plant height was greatest under the mixed light of FL bulb and HL (FL bulb + HL), that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FL tube + LED bulb, LED (tube + bulb), MH, and MC. Elongation of lateral branches showed under all the light sources. Plants grown under FL bulb + HL had the most branches of 9.9, but shorter ones than 2 cm were more as 6.6. Meanwhile, plants grown under FL tube, LED tube, LED bulb, and HPS were about 8.5 cm high but had lots of longer branches than 2 cm, so plant balance and volume was improved. The single light of MH increased not only plant height but also lateral bud elongation. Chlorophyll content (SPAD) was somewhat low under LED (tube + bulb) and FL tube + LED bulb. Fresh weight was greatest under FL bulb + HL, LED bulb, and MH, and dry weight was greatest in MH. Overall, the growth of P. amboinicus was best under MH. In F. albivernis, light source did not greatly affect the plant height, although it was highest under LED tube and lowest under MH. Leaf shape index was higher under LED tube, and there was significantly lower under MH and FL tube + LED bulb. Chlorophyll contents were lowest under the single light of MH. In conclusion, light sources with different spectra and same light intensity induced different growth response and the response differed with plant species.

저자
  • 박인숙(영남대학교 원예생명과학과) | In Sook Park
  • 임태조(영남대학교 원예생명과학과,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화훼장식전공) | Tae Jo Lim
  • 오욱(영남대학교 원예생명과학과,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화훼장식전공, 영남대학교 LEL-IT융합산업화연구센터) | Wook Oh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