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차광 수준이 팔레놉시스의 화경 발생과 생육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Shading Level on the Induction of Inflorescence and Growth of Phalaenopsis Hybri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374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화훼연구 (Flower Research Journal)
한국화훼학회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초록

본 실험은 여름철에 비해 상대적으로 광도가 감소되는 시기인 8월 이후부터 익년 3월까지 차광처리가 팔레놉 시스의 잎과 뿌리의 생육 그리고 화경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차광처리는 자연광의 50%, 60%, 70%, 80%, 그리고 90% 수준이었다. 야간 CO2의 흡수량과 증산량, 엽내 탄수화물함량, 생체중과 건물중 모두 50%와 60% 차광에서 높았으며 70%수준 이상에 서는 차광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화경의 길이, 개체당 화경수와 소화수는 50%와 60% 차광에서 다른 처리보다 높았으며 개화소요일수도 짧았다. 특히, 90%수준에서는 화경의 발생이 현저하게 억제될 뿐만 아니라 실험기간 동안 개화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find an optimum shading level for the growth of root and shoot, and to find the effect of shading level after August on the induction and growth of inflorescence of Phalaenopsis hybrid. The shading levels were 50%, 60%, 70%, 80% and 90% of natural light(1200 μmolm−2s−1). The CO2 uptake, transpiration rate, carbohydrate content, fresh weight and dry weight of Phalaenopsis hybrid were higher at 50-60% level than the others. But, it was diminished when the shading level was increased from 70% to 90%. Inflorescence length, the number of inflorescence and flower per plant all increased under 50-60% shading level and the day needed for the flowering after treatment decreased. Especially, the induction of inflorescence was depressed and flowering is not occurred under 90% during experiment perio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optimal shading level for the growth of Phalaenopsis including inflorescence was founded to be 50-60% in the season of light intensity and amount of sunshine decrease after august.

저자
  • 이동수(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화훼과) | Dong Soo Lee
  • 예병우(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화훼과) | Byeong Woo Yae
  • 이용범(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 | Yong Beom Lee
  • 이영란(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Young Ran Le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