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인터플로라 세계월드컵대회의 웨딩부케 색채이미지 분석 KCI 등재

Analysis of Color Image Wedding Bouquet in the Interflora World Cup Competi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374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화훼연구 (Flower Research Journal)
한국화훼학회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초록

화훼디자인 분야에 있어서 색채의 중요성이 부각된 것은 오래 되었지만 전문적인 교육과 표준화 작업은 미흡한 실정이며, 화훼디자인 분야에서 큰 비중을 차지 하고 있는 웨딩부케도 이러한 문제점을 직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인터플로라 세계월드컵대회의 출품작 중 웨딩부케의 색채이미지 분석을 통해 화훼디자인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명도와 채도가 높은 색채를 선호하였고, 난색과 한색의 고른 분 포가 나타났다. 반면 파란색(Blue)의 사용은 없는 것으로 결과가 도출되어, 화색(花色) 중 파란색(Blue)을 띠는 식물의 희소성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판단되었다. 색채 배색의 분석 결과 대륙별로 차이점을 보이고 있었다. 유럽의 웨딩부케는 한가지 색에 치중하지 않고 다양한 색채 배색이 나타난 반면, 아시아의 웨딩부케는 빨간색 (Red)계열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결과 웨딩 부케의 색채이미지스케일은 12개의 대표이미지 중 8개의 이미지에 분포하였고, ‘맑은, 우아한, 점잖은, 모던한’의 4개의 이미지에는 나타나지 않았다.

Importance of color in floral design has been emphasized for long time, but it is difficult to find out standardization of color for floral design and for educational system. Wedding bouquet is major and important part of floral design and it shows same problem. The research is concentrated on color image analysis of wedding bouquet designs which have been submitted for ‘Interflora World Cup Competition’ with the intention to utilize the study result as the basic information of floral design. Colors of wedding bouquets from 20 different countries were analyzed. All of designers chose high brightness and saturation more for designing the bouquets. Warm colors and cold colors have been taken in similar portion. Blue color has been rarely used and it is probably because of the rarity of blue flowers. This study shows each continent has different color preference. European designers used wide variety of colors while Asian designers preferred red color. From this study, we found that color image scales of wedding bouquets represent 8 images out of 12 representative images. Four exceptions are ‘clean’, ‘elegant’, ‘gentle’ and ‘modern’ images.

저자
  • 여화선(경희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 | Hwa Sun Yeo
  • 김신원(경희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 환경조경디자인학과) | Shin Won Kim
  • 박시현(경희대학교 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Si Hyun Park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