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대표적인 국내 전통 천연염색소재인 감(persimmon)과 쪽(indigo)으로 염색한 면직물로 구성된 동일색조 2-배색 직물의 색채감성 요인을 규명하고 색채감성 요인 및 색채 선호도와 물리적 색채 변인들 간의 관계를 토대로 색채감성 요인의 예측모델을 수립하고자 수행되었다. 감과 쪽으로 염색하여 동일색조 2개 유형(soft와 dull)과 배색 면적비(감:쪽) 3 수준(1:1, 2:1, 1:2)을 조합한 총 6종의 직물 자극물을 준비하여, 20대 여대생 38명을 대상으로 IRI 색채이미지스케일의 13개 색채감성 형용사와 선호도에 대해 의미미분척도로 색채감성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로서 ‘안락감’, ‘경량감’, ‘역동성’, ‘고상함’의 4개 색채감성 요인이 추출되었는데, 요인 ‘경량감’은 동일색조 유형인 soft에 서 더 강하게 느껴지는 경향이었으며, 요인 ‘안락감’은 배색 면적비 2:1에서, ‘고상함’은 배색면적비 1:2에서 유의하 게 더 높게 평가되었다. 또한 물리적 배색변인들은 요인 ‘안락감’, ‘경량감’, ‘고상함’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색채감성 요인 ‘안락감’과 ‘경량감’, ‘고상함’의 예측 회귀모델을 수립하였으며, 색채선호도는 유의한 예측식이 수립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감과 쪽의 천연염색 섬유제품의 배색을 활용하여 섬유⋅패션제품 의 감성 이미지를 설계하는 데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motional images and preference of knitwear by tone on tone combination. The subjects were 357 university students in Daejeon and Chungnam province, and the measuring instruments were 6 stimuli manipulated by color and tone combination type of background and pattern in the tone and tone combination, and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s consisted of emotional images items, preference items, and subjects' demographics attributions. The data were analyzed by Cronbach's α, factor analysis, t-test, M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using SPS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our factors (attractiveness, conspicuity, mildness, and activity) are emerged on emotional images of knitwear. Second, color had main effects on emotional images and preference. Gray color was perceived as most attractive image and more preferred than others. Third, tone combination type had some effects on emotional images. Vivid tone background/light tone pattern was perceived more attractive image but less conspicuous and mild than light tone background/vivid tone pattern. Forth, subjects' gender had an effects on conspicuous image. Male was perceived more conspicuous image on knitwear stimuli than female. Fifth, color and subjects' gender had interaction effects on attractiveness image and preference. Male perceived that blue is more attractive and preferred than female.
본 연구는 결혼 예식장 종류에 따른 서비스스케이프 배색 이미지를 호텔 예식 연회, 일반 예식장, 종교 결혼식장 간에 비교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서울 및 경기 지역 20~39세 400명을 대상으로 직접 방문 및 우편조사를 실시하였고 315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통계 분석은 SPSS/WIN 17.0을 사용하였고,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t-test, 분산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요인 분석 결과 결혼식장 배색 이미지는 경쾌함, 고상함, 은은함의 3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크론바하 알파값이 조사 도구의 신뢰도 분석을 위해 사용되었으며, 0.7 이상을 나타내어 적합하게 나타났다. 결혼식장 배색 이미지 분석 결과, '깨끗한'이 3.6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온화한' 3.50, '은은한' 3.38 순으로 나타났다. 결혼식장 배색 이미지에 대한 결혼식장 유형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배색 이미지 중 '경쾌함' 요인은 일반 예식장이 3.00, '고상함' 요인은 호텔 결혼식장 3.64, '은은함' 요인은 호텔 결혼식장에서 3.6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혼식장 배색 이미지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차이 분석 결과, 성별, 결혼 유무, 한달 총수입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반면, 연령, 학력, 직업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결혼식장 색채 마케팅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톤 인 톤 배색과 톤 온 톤 배색을 활용한 배색의 감성 효과에 관한 것이다. 톤 인 톤 배색 과 톤 온 톤 배색에 근거하여 제작한 24개 배색에 대하여 Osgood의 SD법(Semantic Differential Method)을 이용하여 10명 대학생에게 배색에 대한 인상 평가를 받았으며 자료 분석은 엑셀 통계 프로그램 2004를 사용하여 요인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톤 인 톤 배색에 근거한 배색과 톤 온 톤 배색에 근거한 배색의 인상이 매우 다르게 평가되는 것을 확인했다. 따라서 색채조화의 형식으로 제안되는 배색 기법이 배색의 감성 효과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좋다-싫다', '어린이답다-어른답다', '강하다-약하다', '따뜻하다-차갑다' 4개 이미지 차원이 도출되었으며 이러한 이미지에는 색상과 색조가 영향을 주는 요소로 작용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품의 사진배색과 거의 동일한 색종이 배색의 인상을 비교한 것으로 색표를 이용한 배색과 그 배색에 근거한 제품의 배색 인상에는 거의 차이가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제품이 가진 고유 특성이나 형태, 재질 등에 의해 인상이 크게 달라지는 것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배색 이미지나 색채 디자인의 기초 자료로 활용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some plan which could satisfy consumer's expectation emotional needs by comparing emotional scale between fashion brand image and brand website coloration image. For this study, 12 brand websites within four fashion zone, men's clothing, women's clothing, casual wear, and sports wear were chosen. The questionnaires were comprised of 27 emotional adjectives which were selected from previous studies.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university students and office workers for 3 to 17 on September. Among them, 118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SPSS tool. The qualitative analysis for emotional adjective sorting, content analysis for website color chip sorting, and quantitative analysis for consumers were used in this study. Some differences exist between brand image and website coloration band image as the result. As the numbers of internet user became larger, the costumer's emotional image which gives maximum satisfaction is getting more important in fashion brand website. Therefore, fashion website managers should satisfy consumers with functional and emotional needs.
This study was meant to offer the data for predicting the product plan answering the diverse demands for consumers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image and formative property by transforming the stripe patterns. The concrete study way is composed of the collected stimulus centering on the interval of the stripe pattern and value contrast coloration. Consequently 192 stimuli, changed by the pattern direction and pattern interval, clothing style, and contrast coloration, are selected. The experimental materials made for this study are a set of stimuli and response scale. The statistics way used in analysis was factor analysis, ANOVA, dispersion analysis, multiple classific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ed as following. Firstly, In the value contrast, a pair of 27 adjectives were made of attractiveness, activeness, gracefulness, visibility, and tenderness dimension. Secondly, the direction of the pattern, interval, clothing style, and contrast coloration were respectively transformed according to value contrast.
본 연구는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유채-무채 배색, 면적비, 성별이 남성복 착용자의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들 단서로 사용된 84개의 자극물에 대한 이미지를 평가하기 위해 경남, 서울, 부산, 대구 등지에 거주하는 남녀 대학생 2016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26쌍의 의미미분척도를 요인 분석하여 이미지 차원을 밝혔다. 그 결과 이들 단서들이 어떻게 조합되어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유채-무채 배색, 면적비, 성별에 따른 3색 사선 스트라이프 넥타이 착용자의 이미지 차원은 젊음.활동성, 능력성, 매력성, 현시성, 온유성의 5개 차원으로 도출되었으며, 유채-무채 배색, 면적비, 지각자의 성별이 이미지 형성에 미치는 영향은 이미지 차원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넥타이 디자인 기획 시 소비자의 감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자료제시가 될 것으로 본다.
본 논문에서는 웹 페이지의 배색에 따른 감성 평가치를 바탕으로 감성기반 웹 페이지 검색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구현된 시스템은 웹 페이지의 색상 정보를 자동으로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색인하는 모듈과 감성 형용사가 주어졌을 때 감성과 관련된 색상 배색이 많이 포함된 웹 페이지를 내림차순으로 검색하는 모듈로 구성된다. 구현된 시스템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제 웹 페이지를 대상으로 시스템이 검색한 순위와 사용자 설문조사와 전문가 평정에 의한 순위를 비교 분석한다. 사용자 설문조사 결과 18개의 감성 형용사 중 10개의 형용사에 대해 통계적으로 적합한 결과를 보였으며, 상/하위 5개의 사이트만을 고려한 전문가 평정에서는 14개의 형용사가 적합한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감성에 반응하는 디지털 벽면을 통하여 색채 감성 반응에 대한 연구를 목표로 한다 사용자의 감성 반응에 대한 연구 단계로는 첫째, 감성 어휘에 따른 반응을 조사한다. 둘째, 감성어휘에 따라 색채 배색의 데이터를 형성한다. 셋째, 자동적으로 가상공간에서 사용자의 감성어휘에 따라 색채감성공간을 연구한다. 건축공간의 물리적 특성의 한계에서 유동적인 감성반응 환경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데에는 많은 한계점이 따른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디지털 환경을 이용한 가상공간에서 실행하였다. 이는 실제공간에서의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빠른 시간 내에 인간의 반응을 연구할 수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감성반응의 실내배색에 의해 실내공간에서의 디지털 벽면의 디자인을 가상공간에서 개발하여 거주자의 감성 반응을 평가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두었다. 이와 같은 거주자의 감성반응형 환경 디자인은 미래의 디자인의 패러다임이 될 것이다.
자동차 인테리어 디자인에 있어서 색상은 외형 디자인과 함께 사용자의 감성적 평가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데, 그 주된 이유로 자동차 프로토타입 모델의 완성 전에 가상적인 색상배색 시뮬레이션을 해 볼 수 있는 기술적 기반의 미약을 들 수 있다. 다행히 최근의 컴퓨터 하드웨어 발달로 자동차 색상계획 단계에서 실시간으로 색채배색 효과를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환경의 구축이 가능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색상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 감성척도를 기반으로 색상배색 디자인을 지원할 수 있는 자동자 인테리어 색상배색 지원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지원 시스템은 색상감성 요소의 수집을 위한 정보수집 모듈, 색채감성과 색상속성의 상관관계를 추출하기 위한 컬러 감성해석 모듈, 디자이너의 색상 배색을 지원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모듈, 도출된 배색의 평가 테스트를 위한 평가지원 모듈로 구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