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커피나무 분화 생산을 위한 여름철 적정 광도 및 동절기 최저 온도 KCI 등재

Adequate Level of Shading in Summer and Minimum Temperature in Winter for Production of Coffea arabica as a Potted Plan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383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화훼연구 (Flower Research Journal)
한국화훼학회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초록

커피나무를 실내분화로 개발할 목적으로 광도에 따 른 생육반응과 겨울철 온도관리에 대한 실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50% 차광망으로 0~3겹까지 차광 하여 생육을 조사한 결과, 1겹과 2겹에서 생육이 가장 양호하고 엽색도 진한 녹색이며 잎에 광택이 있어 관 상가치도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겹 차광에서는 엽색은 진하나, 생육이 지나치게 억제된 결과를 보였으 며, 무차광에서는 엽색이 탈색되고 생육도 현저하게 저 하되었다. 겨울철에 최저 온도를 5, 10, 15, 20oC로 설정하고 커피나무를 관리한 결과, 15oC 이상에서 정 상적인 생육이 가능했으며, 엽색도 진한 녹색으로 관상 가치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10oC에서는 생육이 현 저하게 저하되었고, 5oC에서는 생육저하뿐 아니라 일 부 개체는 저온피해로 고사되었다. 따라서 커피나무를 분화로 재배하고자 할 때는 50% 차광망으로 2겹이 가장 좋으며, 겨울철 야간 최저 온도는 15oC이라고 판단되었다.

To develop coffee tree (Coffea arabica) as an ornamental potted plant, growth responses as affected by level of shading in summer and minimum temperature in winter were investigated. The plant was shaded with 0~3 layers of a 50% shading net. Potted plant cultured under 1 or 2 layers of the shading net showed the best growth and commercial value with dark greenish leaves. Three layers of the shading net inhibited the plant growth, although plants had dark greenish leaves. Plants under 0 layer of the shading net showed distinct suppression in growth and degradation in commercial value with discolored leaves. Night minimum temperature in winter was set at 5, 10, 15 or 20oC in a plastic greenhouse. Plants in 15 and 20oC conditions showed normal growth and high commercial value with greenish leaves. Inhibition in growth was apparent in a 10oC condition. Under a 5oC condition, 10~20% plants died by cold injury. In conclusion, in order to culture the coffee tree as an ornamental potted plant, two layers of 50% shading net during summer and minimum temperature above 15oC in winter would be recommended.

저자
  • 윤재길(진주산업대학교 원예학과) | Jae Gill Yun Corresponding author
  • 양중환(진주산업대학교 원예학과) | Joong Hwan Yang
  • 안상열(진주산업대학교 원예학과) | Sang Ryeol An
  • 박재춘(진주시청) | Jae Chun Park
  • 이영미(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 원예학과) | Young Mi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