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자생식물을 이용한 리스용 건조소재 개발 KCI 등재

Development of Dried Materials with Korean Native Plants for Wreath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384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화훼연구 (Flower Research Journal)
한국화훼학회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초록

건조 후 장식용 리스를 만들기 적합한 자생식물을 조사하기 위해 2004년 4월부터 12월까지 한국 여러 지역을 탐사하여 21cm×21cm×6cm의 포장상자에 맞는 크기로 제작한 장식가치가 있는 자생식물은 46종류로 조사되었다. 이 중 가장 손쉽게 구할 수 있으며 건조 하기 쉽고 제작하기 쉬우며 외국에서 제작 판매하지 않는 식물은, 비름과의 비름, 국화과의 사철쑥, 산쑥, 물쑥, 화본과의 참억새, 갈대, 금강아지풀, 강아지풀, 꿀풀과의 배초향, 향유, 꽃향유, 마편초과의 순비기나 무, 그리고 글리세린 처리 잎을 이용한 측백나무과의 향나무, 눈향나무, 소나무과의 구상나무, 오엽송, 주목 과의 주목, 그리고 가지를 이용한 노박덩굴과의 화살나 무인 18종류로 조사되었다.

Korean native plants were investigated for their suitability to be used for wreaths after drying during Apr. to Dec., 2004. Wreaths which can be fit in 21cm×21cm×6cm paper boxes were made with 46 species. Among 46 plants the principal species, which were easy to get and dry, easy to make wreaths, and have not been used in other countries, were 18 species. Amatanthus mangostanus in Amaranthaceae, Artemisia capillaris, A. montana, and A. selengensis in Compositae, Miscanthus sinensis, Phragmites communis, Setaria glauca, and Setaria viridis in Gramineae, Agastache rugosa, Elsholtzia ciliata, and E. splendens in Labiatae, and Vitex rotundifolia in Verbenaceae were used with flowers and leaves. Juniperus chienesis and J. chinensis var. sargentii in Cupressaceae, Abies holophylla and Pinus parviflora in Pinaceae, and Taxus cuspidata in Taxaceae were soaked with a glycerine solution before drying leaves. Euonymus alatus in Celastraceae was used with stem.

저자
  • 손관화(천안연암대학 화훼장식계열) | Kwanhwa Sohn Corresponding author
  • 권혜진(천안연암대학 화훼장식계열) | Hye Jin Kwon
  • 김의영(천안연암대학 화훼장식계열) | Eui Young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