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팀 리더 및 팀원의 코칭 훈련이 개인 및 조직성과에 미치는 효과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KCI 등재

An Exploratory Study of Team Leader's Coaching Training Effectiveness on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405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700원
코칭연구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한국코칭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Coaching)
초록

본 연구는 조직 내 팀 리더 및 팀원의 코칭 훈련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탐색적 연구로 시도되었다. 서울시에 위치한 S 종합병원 팀 리더와 팀원들을 대상으로, 팀 리더들은 외부 전문 코치들로부터 코칭 워크숍 2시간씩 6회, 면대면 및 전화코칭 1.5시간씩 6회 실시하였으며, 팀원들은 훈련받은 팀 리더들이 그룹코칭 월 1 회씩 6개월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을 위해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분석과 연구 문제의 검증은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반복측정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본 연구를 통해 첫째, 코칭 훈련이 개인역량 및 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팀원들의 그룹코칭 효과성 검증결과 팀 리더의 효과성 검증결과와는 상반되게 변화가 거의 없거나 오히려 하락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는 팀 리더들이 전문 코치로부터 12회의 코칭훈련을 받은 반면, 팀원들은 코칭 훈련을 받은 팀 리더들로부터 월 1회 코칭 훈련을 받은 결과로 보여진다. 코칭 훈련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일선에서 코칭 훈련에 관심을 가져야 하고, 특히 팀 리더는 전문 코치로부터 충분한 코칭 훈련을 통해 팀원에게 주기적으로 목표관리 및 확인절차를 통하여 팀원에게 도움을 주어야 한다.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와 시사점은 첫째, 조직에서 팀 리더의 코칭 훈련이 개인 및 조직성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가에 대한 물음에 긍정적인 해답을 제시하였다. 둘째, 실험집단 팀 리더와 실험집단 팀원의 개인 및 조직성과 변화에 대한 차이를 보여줌으로써 코칭 훈련 프로그램 운영의 방법과 기간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셋째, 실험집단 팀 리더와 실험집단 팀원의 개인 및 조직성과 변화에 대한 인식차이를 보여줌으로써 코칭훈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한 조사대상의 범위 및 효과성 해석 기준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aching training effectiveness for teamnleaders. The sample of this study was 13 team leaders and 30 team members: among 13nteam leaders, 8 for the coaching group including 14 team members, and 5 for the controlngroup and 14 team members working for the cancer center at the S hospital located innSeoul. External coaches having ICF Associate Coaching Certification had provided 12 hoursncoaching workshop for improving coaching skill and coached 6 coaching sessionsnindividually by person-to-person and tele-coaching. Each coaching session period was 1.5nhours. Team leaders having coaching training had coached team members for 6 groupncoaching sessions, having 1 session group coaching per month during 6 months.nThe data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coaching program for both coaching andncontrol group. Reliability test, frequency analysis, t-test were conducted for the datan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coaching training for teamnleaders have a significant improvement for each effective variables such as EQ,nself-efficacy, coaching skill competenc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erceivednorganizational performance. However,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the significantndifferences pre and post test. Second, for the team members the results showed nondifference pre and post test.

저자
  • 김정근((주)글로벌비즈니스코칭연구소 대표이사) | Kim, Joung-Gu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