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막-생물반응조 공정을 이용한 염색폐수의 처리 KCI 등재

Treatment of Textile Wastewater by Membrane-Bioreactor Proces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427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멤브레인 (Membrane Journal)
한국막학회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초록

혐기-호기의 생물반응조 공정과 막분리 공정을 조합한 막-생물반응조 공정을 이용하여 염색폐수 중의 난분해성 물질들을 제거하였다. 염색폐수 원수를 직접 막분리공정에 적용한 결과 심각한 fouling을 초래하였다. 반면 생물반응조로 1차 처리한 후 막분리공정에 적용한 경우 생물반응조가 막의 오염원을 상당부분 제거하여 fouling현상이 현저리 감소하였으며, 막의 수명도 연장시킬 수 있었다. 염색폐수의 처리효율 및 fouling현상은 막의 기공 크기나 구조보다는 막의 재질에 더욱 의존함을 확인하였다. 중공사막 module의 사용 방법 및 중공사막 내부의 유속에 따라서 제거효율 및 투과유량이 변화하였다. 생물반응조나 막분리 단독공정보다 두공정을 조합한 공정이 보다 효과적으로 염색폐수 처리능력을 보였다.

Membrane-bioreactor process which combines anaerobic-aerobic bioreactor and membrane process, was used to remove refractory organic susbstances and dye molecule in textile wastewater effectively. Direct feeding of raw feed water to membrane process caused serious fouling on membrane. On the other hand, pretreated feed by bioreactor before the membrane process remarkably reduced the fouling and prolonged the membrane life. Removal efficiency and fouling were more dependent on the material property of the membrane rather than the membrane pore size and structure. Operation mode of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linear velocity in the hollow fiber influenced the ramoval efficiency and the water flux of the membrane. The combined membrane- bioreactor process was more effective in treating the textile wastewater than each single process.

저자
  • 강민수(경희대학교 재료과학기술연구소,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 Min Soo Kang
  • 김성수(경희대학교 재료과학기술연구소,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 Sung Soo Kim
  • 황규대(경희대학교 환경과학기술연구소, 자연과학대학 환경학과) | Gye-Dae Hwang
  • 강종림(경희대학교 환경과학기술연구소, 자연과학대학 환경학과) | Jong Lim K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