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복합막 제조를 위한 가교된 폴리비닐알코올 막의 특성 평가와 이를 이용한 투과증발 분리 KCI 등재

Characterization of Crosslinked Poly(vinyl alcohol) Membranes for the Preparation of Composite Membranes and Its Application to Pervaporation Separ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432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멤브레인 (Membrane Journal)
한국막학회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초록

본 실험실에서 개발된 sulfur-succinic acid의 가교제를 이용한 가교된 폴리비닐알코올 (poly(vinyl alcohol), PVA) 균일막은 15℃에서 반응이 일어나므로 복합막을 제조할 때 지지체의 가공구조을 파괴할 우려가 있어 반응온도를 10℃이하로 낮추고자 하였다. 이 때 촉매로서 염산이 사용되었고, 결과 막은 가교반응의 유무를 관찰하기 위하여 화학적.열적 분석을 행하였다. 이로부터 반응온도 10℃, 반응시간 90분, 촉매(염산) 농도 1.5%일 때 최적의 막을 제조할 수 있는 조건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폴리설폰 한외여과 막 위에 coating하여 복합막을 제조하였으며 , 이의 분리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메틸터셔리부틸에테르/메탄올 혼합액에 대하여 조업온도 30, 40, 5℃에서 투과증발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혐 결과 공급액의 온도 5℃에서 5.09g/m2hr의 투과도와 3℃에서 1622의 선택도를 얻었다.

In the crosslining reaction of poly(vinyl alcohoJ)(PVA) with sulfur-succinic acid which had been established in our previous work, reaction temperature, 15℃, was so high to collapse the pore struc¬tures in support membrane for the preparation of composite membrane. Therefore, the efforts have been focused on lowering of the reaction temperature to 100℃ by using a catalysis, HC!. The newly established crosslinking reaction was characteriz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hemical and thermal properties. From these results, the optimum conditions for the membrane preparation couId be drawn as followings : (i) reac¬tion temperature, 100 ℃,(ii) reaction time, 90 min, (iii) the concentration of the catalysis (HCD, 1.5%. Com¬posite membranes were fabricated by coating a casting solution containing PYA, sulfur-succinic acid and HCl on a support membrane followed by crosslinking it at 10℃. The resulting membranes were applied to the pervaporation separation of methyl-tert-butyl ether(MTBE)/methanol (MeOH) mixtures at 30, 40, and 5O℃. The flux of 5.09 g/m2hr at 5O℃ and the highest separation factor of 1622 were obtained, respectively.

저자
  • 김연국(한남대학교 화공 · 고분자공학부) | Youn-Kook Kim
  • 이정민(한남대학교 화공 · 고분자공학부) | Jung-Min Lee
  • 임지원(한남대학교 화공 · 고분자공학부) | Ji-Won Rhim
  • 이영무(한양대학교 응용화학공학부) | Young-Moo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