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Polyamide 역삼투막의 투과성능과 막 이동 모델의 해석 KCI 등재

Interpretation of Permeation Characteristics and Membrane Transport Models Through Polyamide Reverse Osmosis Membran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444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멤브레인 (Membrane Journal)
한국막학회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초록

폴리아미드계 역삼투 분리막의 투과성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NaCl과 NaOCl을 함유하는 혼합용액을 공급수로 사용하여 연속운전과 단속운전 하에서 실험하여 보았다. 이 결과를 가지고 막 이동 모델의 선택적 적용이 가능함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투과 성능 분석 결과, 용액 확산 모델과 선흡착-모세관이동 모델이 운전 모드에 따라 상대적으로 유용함을 볼수 있었다. 연속 운전에서는 선흡착-모세관이동 모델을, 단속 운전에서는 용액 확산 모델을 따름을 알 수 있었다 NaOCl에 의한 표면 변화를 SEM 사진을 통하여 확인 할 수 있었다. 연속운전 후의 막은 염소 투과 결과 표면에서 부분적인 ridge and valley 구조가 나타났으며 단속 운전 후의 막은 표면 전반에서 변성이 일어난 것을 볼 수 있었다.

In this study, we present a noble study far membrane transport models using chlorine resistance of polyamide RO membranes. Membrane transport mechanism is investigated by the comparison of membrane permeation performance under the continuous and Intermittent operation modes with mixed feed solution containing NaOCl and NaCl. Analysis of permeation performance indicates that solution-diffusion model and preferential adsorption-capillary flow model are relatively efficient according to operation mode. Under the continuous flow state, mass transfer depends on preferential adsorption-capillary flow model rather than solution-diffusion model. On the other hand, it prefers solution-diffusion model to preferential adsorption-capillary flow model under the stationary state. SEM images of NaOCl treated membrane surfaces strongly support these conclusions. These surface images reveal that NaOCl treated membrane in continuous operation mode exhibits ridge and valley structure in some fraction of the surface area, whereas that in intermittent operation mode shows surface degradation entirely.

저자
  • 김노원(동의대학교 환경공학과) 주저자
  • 김영길(경희대학교 환경 · 응용화학대학)
  • 이용택(경희대학교 환경 · 응용화학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