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휴믹산 용액 및 자연수의 한외여과: 제거율, 막오염 및 세척특성 비교 KCI 등재

Ultrafiltration of Humic and Natural Water: Comparison of Contaminants Removal, Membrane Fouling, and Clean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459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멤브레인 (Membrane Journal)
한국막학회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초록

자연산 유기물과 미세 입자는 분리막을 이용한 수처리 공정에서 반드시 제거되어야 하는 주요한 물질이다. 특히 휴믹물질은 막오염을 일으키는 자연산 유기물의 대표적인 물질로 알려져 있어 막여과 정수처리와 관련된 많은 연구에서 정수 원수를 모사하기 위해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휴믹산 용액과 자연수의 한외여과시 막여과 및 세척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분리막 모듈의 실제 정수 원수 적용시 휴믹산 용액을 이용한 모사수가 가지는 대표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정수원수의 막투과도는 5 mg/L 휴믹산 용액의 여과와 거의 같은 양상을 보였으나 유기물 및 탁도 제거율 측면에서 차이를 보였다. 용존성 유기물의 제거율은 휴믹산 용액에 비해 자연수의 제거율이 아주 낮으며 자연수 내에 존재하는 유기물은 분리막에 의해 거의 제거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모사수의 제거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이유는 유입수 내 유기물의 분자량 분포와 UV254 및 SUVA 값으로부터 휴믹산 용액 내 유기물의 크기 배제 및 소수성 흡착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미세입자 제거의 경우 입자 분포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카올린을 함유한 모사수가 자연수에 비해 한외여과 처리수의 탁도가 더 낮게 나타났다. 이는 입자 크기 자체보다는 입자의 형태가 분리막에 의한 입자 제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화학세정을 통한 막성능 회복률의 경우 비슷한 막투과도를 보이며 오염을 일으킨 경우에도 모사수가 자연수에 비해 다소 높은 회복률을 보였고, 이 또한 모사수의 한계를 드러낸다고 하겠다.

NOM and fine particles are the main target materials in water treatment using membranes. Particularly, humic substances extracted from soils are frequently used in many fundamental studies representing natural organic matter in raw water for drinking water treatment. In this study, ultrafiltration (UF) of artificial humic water and natural river water was conduct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removal efficiency and permeability were compared. In the UF of river water, the transmembrane pressure increased in the same pattern with that of 5 mg/L humic water. For the removal of organic matter and fine particles, however, two types of feed water had shown different trends. Kaolin particles and humic acids added to artificial water were better removed, while colloids and organics in natural water were relatively poorly removed. From the UV254 and GPC analyses, it seemed that the hydrophobicity and size of humic substances contributed to the greater removal of organic matter. The UF membrane applied for humic water also showed a higher flux recovery by caustic chemical cleaning than that for river water.

저자
  • 추광호(경북대학교 환경공학과) | Choo Kwang-Ho 주저자
  • 남미연(경북대학교 환경공학과) | Nam Mi-Ye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