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순환식 막 모듈 여과장치를 이용한 산성용액의 수처리 공정 시 발생하는 한외여과막 오염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Fouling of Ultrafiltration Membranes Used in the Treatment of an Acidic Solution in a Circular Cross-flow Filtration Bench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465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멤브레인 (Membrane Journal)
한국막학회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초록

산성 용액의 수처리가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중공사형 한외여과막에 미치는 영향을 십자흐름 방식의 순환식 막 모듈 여과 장치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막 모듈 여과장치를 이용하여 pH 2인 강산성 용액의 수처리를 시작한 지 약 80시간이 경과되었을 때 막 투과량(permeate flux)이 급격히 감소하는 것을 관측하였다. 또한, 수처리 시간 별로 막 모듈 여과장치의 공급조에서 채취한 샘플 용액의 자외선/가시광선 흡수 스펙트럼과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스펙트럼을 분석한 결과 수처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막 모듈을 통과한 농축액 속에 새로운 유기 화합물이 생성된다는 사실을 알아내었다. 질량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이 화합물을 1,6-dioxacyclododecane-7,12-dione이라고 예측하였으며, 각종 플라스틱 특히 폴리우레탄 제조 시 사용되는 첨가제 중 하나라는 사실도 알아내었다. 수처리에 사용된 막에 대한 전자주사 현미경 사진 및 고체 NMR 분석 등의 추가 실험을 통해 산성 용액 수처리 과정에서 발생한 막 투과량의 감소는 산성 용액 하에서 일어나는 UF막의 변형에 의한 것이 아니라 막 모듈 여과장치에 사용된 폴리우레탄 튜브에서 산과의 반응에 의해 용출된 저 분자량의 유기화합물이 막 오염 현상을 일으켰기 때문인 것으로 결론지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산성 용액의 수처리 공정 시 UF막 자체의 산에 대한 반응성 뿐 아니라 막 모듈을 포함한 수처리 장치 자체의 산에 대한 반응성 역시 산 용액의 수처리 효율은 물론, 산을 이용한 막의 화학 세정 효율 및 수처리 막의 pH 사용 한계를 결정하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라는 것을 보여준다.

The effects of the treatment of an acidic solution at pH 2 on polyacrylonitrile ultrafiltration (UF) membranes were investigated using a circular cross-flow filtration bench with a membrane module. A substantial reduction in the membrane permeability was observed after 80 hours' treatment of the acidic solution. In addition, the analyses of the sample solutions by ultraviolet/visible absorption spectroscopy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which were taken from the feed tank as a function of the treatment time, showed that a new organic compound was produced in the course of the treatment. From a thorough search of the mass spectral library we presumed the new compound to be 1,6-dioxacyclododecane-7,12-dione (DCD), one of the well-known additives for polyurethane. Based on further experimental results, including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images and the solid-state NMR spectra of the membranes used for the treatment of the acidic solution, we suggested that the decrease of the permeate flux resulted not from the deformation of the membranes, but from the fouling by DCD eluted from the polyurethane tubes in the filtration bench during the treatment. Those results imply that the reactivity to an acidic solution of the parts comprising the filtration bench is as important as that of the membranes themselves for effective treatments of acidic solutions, for efficient chemical cleaning by strong acids, and also in determining the pH limit of the solutions that can be treated by the membranes.

저자
  • 백윤기(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대구센터) | Youn Kee Paik
  • 강진석(케미코아(주)) | Jin Seok Kang
  • 주영길(케미코아(주)) | Young Kil Joo
  • 박병재(케미코아(주)) | Byung Jae Park
  • 김환진(충북대학교 화학과) | Hwan Jin Kim
  • 이준호(충북대학교 화학과) | Jun Ho Lee
  • 최용훈(충북대학교 화학과) | Yong Hun Choi
  • 최창민(충북대학교 화학과) | Chang Min Choi
  • 김남준(충북대학교 화학과) | Nam Joon Kim 주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