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배출봉을 이용한 정밀여과용 관형 모듈의 투과특성 KCI 등재

Permeation Characteristics of the Microfiltration Tubular Module using the Discharged Ro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467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멤브레인 (Membrane Journal)
한국막학회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초록

공칭 세공크기 0.1 μm이고 내경이 5 mm인 정밀여과용 관형 분리막 내에 자체 설계한 배출봉을 삽입하여 막오염 감소효과에 따른 투과유속을 측정하였다. 원료용액으로는 에멀젼 상태의 dioctyl tinoxide (DOTO) 입자를 사용하였으며 0.5 wt%까지 농도를 변화시키면서 1.6 bar 이내에서 운전하였다. 배출봉의 효과는 매 실험마다 배출봉을 삽입한 경우와 사용하지 않은 경우의 투과유속을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배출봉을 사용할 경우 운전압력 1.6 bar에서 최대 20%의 투과유속이 향상되었다. 또한 DOTO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배출봉에 의한 투과유속 향상효과는 크게 나타났으며 0.5 wt% 농도에서 43%까지 투과유속이 향상되었다.

The permeation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for the nominal pore size 0.1 μm and 5 mm inner diameter microfiltration tubular membrane equipped with self-designed discharging rod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 of fouling reduction. Dioctyl tinoxide (DOTO) latex particle was used to prepare up to 0.5 wt% concentration of feed solution, and the experiments were operated within 1.6 bar. The permeation flux effect on the discharged rod was measured as a result of flux comparison between the cases of equipped and non-equipped discharge rod modules for every experiment. The permeation flux for the case using the discharged rod was enhanced to 20% at 1.6 bar operating pressure. The improvement on permeation flux for using the discharged rod was greater as the concentration of feed increased, and reached up to 43% under 0.5 wt% concentration of feed solution.

저자
  • 정건용(서울산업대학교 화학공학과) | Kun Yong Chung 주저자
  • 최정규(서울산업대학교 화학공학과) | Jeong Gyu Ch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