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표면불소화에 따른 Poly(phenylene oxide)막의 기체투과거동 연구 KCI 등재

Studies on the Gas Permeation Behaviors Using the Surface Fluorinated Poly(phenylene oxide) Membran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469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멤브레인 (Membrane Journal)
한국막학회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초록

본 연구에서는 poly(phenylene oxide) (PPO)의 막 표면에 100 ppm의 농도를 갖는 불소가스를 접촉시켜 표면불소화하였다. 표면 개질된 막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표면접촉각, XPS, 기체투과 실험을 수행하였다. 표면특성 분석 결과 불소처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막 표면에 -CF2, -CF3의 perfluoro group의 결합으로 인해 막의 소수성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기체투과 측정으로부터 불소화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기체에 대한 투과도는 감소하였으며, 불소노출이 60분 경과한 막의 경우 질소 33%, 산소 23%, 이산화탄소 3%의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선택도의 경우 질소 대비 산소의 경우 3.92로부터 4.47로, 이산화탄소에 대한 질소의 경우 18.09에서 25.4로 증가함을 얻었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surface fluorination of poly(phenylene oxide) (PPO) with the direct contact of 100 ppm fluorine gas. To characterize the surface fluorinated membranes, the contac angle measurement, X-ray photoelectron microscopy analysis and the gas permeation experiments were performed. As the fluorination time increases, the hydrophobicity of membrane surfaces is increased by the surface characterization. In general, as expected, the overall gas permeability was reduced. Typically, the permeability reduction of 33% for nitrogen, 23% for oxygen and 3% for carbon dioxide were observed when the membranes were exposed in 100 ppm environment for 60 min., meanwhile the selectivity was increased from 3.92 to 4.47 for O2/N2 and 18.09 to 25.4 for O2/N2, respectively.

저자
  • 이보성(한남대학교 대덕밸리캠퍼스 생명․나노과학대학 나노생명화학공학과) | Bo Sung Lee
  • 김대훈(한남대학교 대덕밸리캠퍼스 생명․나노과학대학 나노생명화학공학과) | Dae Hoon Kim
  • 임지원(한남대학교 대덕밸리캠퍼스 생명․나노과학대학 나노생명화학공학과) | Ji Won Rhim 주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