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긍정정서와 부정정서에 따른 아동의 안면근육반응 차이 KCI 등재

Differentiation of Facial EMG Responses Induced by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in Childre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640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정서를 경험하는 동안 자율신경 반응과 외현적 반응, 그리고 얼굴 표정, 몸짓, 자세, 언어 등과 같은 정서적 의사소통을 나타낸다. 안면근육반응은 공포, 놀람, 행복, 혐오, 슬픔, 분노와 같은 감정적인 표현을 측정하는 하나의 수단으로, 특정한 안면근육에 기초를 둔 반응을 식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이 긍정정서와 부정정서를 느낄 때 나타나는 안면근육반응의 변화를 알아보고, 아동이 느끼는 긍정정서와 부정정서의 구분이 가능한지를 알고자 하였다. 시청각 동영상(Audiovisual Film Clips)을 이용하여 긍정정서 (기쁨)와 부정정서를 유발하였고, 47명의 아동이 이들 정서를 느끼는 동안 안면근전도(Facial EMG : 우측 corrugator supercilii와 orbicularis oris)를 측정하였다. 또한 아동이 경험한 정서의 심리반응 결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정서평가척도를 사용하였다. 두 정서에 대한 높은 적합성(85%이상)과 효과성(기쁨 3.15, 공포4.4, 5점 만점)을 보였다. 안면근육반응 결과, 두 정서 모두에서 안정상태와 정서 상태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정서에 따른 반응 결과, 긍정정서와 부정정서에 따라 corrugator supercilii와 orbicularis oris 반응의 차이가 나타났다. corrugator supercilii는 긍정정서일 때 부정정서보다 근육의 활동이 더 증가하였다. orbicularis oris는 부정정서일 때 긍정정서보다 근육의 반응이 더 증가하였다.

The study is to examine how facial EMG responses change when children experience a positive emotion(happiness) and a negative emotion(fear). It is to prove that the positive emotion(happiness) could be distinguishable from the negative emotion(fear) by the EMG responses. Audiovisual film clips were used for evoking the positive emotion(happiness) and the negative emotion(fear). 47 children (11-13 years old, 23 boys and 24 girls) participated in the study Facial EMG (right corrugator and orbicularis oris) was measured while children were experiencing the positive or negative emotion. Emotional assessment scale was used for measuring children's psychological responses. It showed more than 85% appropriateness and 3.15, 4.04 effectiveness (5 scale) for happiness and fear, respectively. Facial EMG respons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a resting state and a emotional state both in happiness and in fear (p〈001). Result suggests that each emotion was distinguishable by corrugator and orbicularis oris responses. Specifically, corrugator was more activated in the positive emotion(happiness) than in the negative emotion(fear), whereas orbicularis oris was more activated in the negative emotion(fear) than in the positive emotion(fear).

저자
  • 장은혜 | Jang, Eun-Hye
  • 임혜진 | Lim, Hye-Jin
  • 이영창 | Lee, Young-Chang
  • 정순철 | Chung, Soon-Cheol
  • 손진훈 | Sohn, Jin-Hun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