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긍정적 감성경험에 의한 심박변이도의 변화에 대한 연구 - 2002 한일 월드컵 행사가 한국의 국민 정서와 건강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 KCI 등재

A Study on the Positive Emotional Effects on Heart Rate Variability - Focused on Effects of '2002 FIFA World Cup' Sports Event on Emotion and General Health of Korean People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643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본 논문은 긍정적인 정신적 흥분이 자율신경계에 어떤 영향을 주는 지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2002년 한일 월드컵 기간 중 국민이 경험한 정신적, 신체적 상태의 변화를 자율신경 평가 도구인 심박변이도(HRV)를 통하여 평가하였다. 실험 대상은 월드컵군과 정상 대조군으로 나누어 심박변이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조군은 수도권 2개 대학병원 건강검진센터에 내원한 건강한 20~30대 남녀 675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월드컵군은 수도권 소재 월드컵 경기장 3개소에서 경기를 관전하기 위하여 대기중인 20-30대 남녀 46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데이터분석은 남녀의 생리학적인 차이를 고려하여 남성군과 여성군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금까지 알려져 있던 스트레스 반응과는 다른 경향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스트레스 상태에서는 평균 심박수가 증가하는 것 이외에 다른 지표들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그러나 긍정 스트레스(eustress) 상태에서 심박수와 SDNN 모두 유의하게 높은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p〈0.05). 특히 여성 그룹의 경우, 부정 스트레스(distress) 상태와는 반대로, 모든 주파수분석 파라메타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p〈0.001). 심박변이도의 감소가 건강 상실의 지표가 된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SDNN의 증가와 모든 주파수 파라메타의 증가는 자율신경의 항상성조절 기전이 긍정적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전 세계적인 스포츠 이벤트로 인한 긍정 스트레스상태의 유발이 국민 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ositive menial stress, eustress, on autonomic nervous system(ANS) and human health. For this, we analyzed heart rate variability(HRV) parameters, the most promising markers of ANS function to assess the changes of emotional and physiological states of human body. We measured HRV Signal of World Cup group(281 male subjects: 29.8±5.6yr., 187 female subjects: 29.0±5.4yr.) in two stadiums at least an hour before the game during '2002 FIFA World Cup Korea/Japan' event. We also measured control group's(331 male subjects: 30.9±4.7 yr., 344 female subjects: 30.2±5.2 yr.) in the health promotion centers in two university hospitals at least a month before and after the world cup event period. Considering physiological differences between males and females, the data analysis was applied to 'male group' and 'female group' separately. As a result, some tendency was observed that is different from what we have known as the stress reaction. In general, all parameter values except that of mean heart rate tend to decrease under stressed condition. However, under eustressed condition, both heart rate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Normal to Normal intervals(SDNN) were higher then those of normal condition(p〈0.05). Especially, in case of female group, contrary to distressed condition, every frequency-domain powers showed tile higher value(p〈0.05, p〈0.001). Considering that decrease of HRV indicates the loss of one's health, the increase of SDNN and frequency parameters means that homeostasis control mechanism of ANS is functioning positively. Accordingly, induction of eustress from international sports event may affect positively to the people's health.

저자
  • 정기삼 | Jeong, Kee-Sam
  • 이병채 | Lee, Byung-Chae
  • 최환석 | Choi, Whan-Seok
  • 김범택 | Kim, Bom-Taeck
  • 우종민 | Woo, Jong-Min
  • 이쾌희 | Lee, Kwae-Hi
  • 김민 | Kim, Min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