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블랙컬러 패션소재의 색채감성과 선호도 KCI 등재

Color Sensibility and Preference of the Black Color Fabric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665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본 연구는 블랙컬러 패션소재에 대한 색채감성과 선호도를 조사하고, 소재의 구조적 특성, 색채특성 및 색채감성이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선행연구를 기초로 선정한 9종의 블랙 패션소재에 대해서 대학생을 대상으로 색채감성과 촉감 및 구매선호도를 평가시켰다. 평가된 자료는 빈도분석, 평균, 요인분석, t-test, Kruskal-Wallis검정,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블랙컬러소재의 색채감성을 요인분석 한 결과, 심플/클래식, 우아함, 현대적, 위엄성 등 4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이러한 색채감성 요인은 소재의 종류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검정 벨벳소재는 이들 색채감성을 가장 잘 표현하는 소재로 평가되었으며, 남자 대학생이 여자 대학생에 비해 블랙소재가 더 심플/클래식하고 우아하며 현대적이라고 평가하였다. 이들 색채감성 요인은 소재의 구조적 특성 및 색채특성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한편, 블랙컬러 패션소재 중에서 촉감이 좋다고 평가된 소재의 경우 구매 선호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블랙컬러 패션소재의 촉감과 구매 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주된 변인은 색채감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블랙컬러 패션소재는 심플/클래식, 우아함, 현대적, 위엄성 등의 색채감성을 나타내었고, 색채감성은 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주요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패션상품기획시 추구 이미지에 따라 블랙컬러소재를 차별화하여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to evaluate the color sensibility and preferences,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tactile preferences and purchasing preference on structural properties, color characteristics and color sensibility for the black color fabrics.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were asked to evaluate the color sensibility, tactile preference and purchasing preference to the nine different black fabrics which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the previous research results. Data were analyzed by using frequency analysis, mean, factor analysis, t-test, Kruskal-Wallis test,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The color sensibility for black color fabrics was classified into four factors: simplicity/classic, elegance, modernity and dignity. This color sensibility factor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ve relationship to the structural properties and color characteristics of black color fabrics. On the other hand, fabrics which were evaluated with good tactile preference among the black color fabrics tended to show higher purchasing preference. Also, among the color sensibility, the structural properties and color characteristics of black color fabrics, major variable factor of influencing on the tactile preference and the purchasing preference was turned out to be the color sensibility.

저자
  • 김여원(충북대학교 생활과학대학 패션디자인정보학과) | Kim, Yeo-Won
  • 최종명(충북대학교 생활과학대학 패션디자인정보학과) | Choi, Jong-Myoung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