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레스토랑 실내의 색채와 배경 음악의 조화가 고객의 감정적 반응 및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effect of restaurant in-store color and music congruency on customer's emotional responses and behavioral intention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669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본 연구는 레스토랑의 실내 색채와 배경 음악 및 레스토랑 분위기의 일치성이 고객의 감정적 반응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울 및 경인 지역 20~30대 400명을 대상으로 웹 서베이를 실시하였다. 색채와 음악의 앙상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3D studio MAX를 활용하여 high-stimulus(exciting) 자극물과 low-stimulus(calm) 자극물을 제작하여 3D 가상현실 레스토랑 시뮬레이션 자극물로 활용하였다. 통계 분석은 SPSS/WIN 18.0을 사용하였고, 신뢰도 분석, 요인 분석, 회귀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요인 분석 결과 감정적 반응은 긍정적 감정, 부정적 감정의 2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만족도와 충성도는 1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크론바하 알파값이 조사 도구의 신뢰도 분석을 위해 사용되었으며, 0.7 이상을 나타내어 적합하게 나타났다. 색채와 음악이 레스토랑 분위기와 어울리는 정도는 긍정적, 부정적 감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은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보였으며, 만족도는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었다. 배경음악의 어울림이 실내 색채의 어울림보다 긍정적 감정에 더 큰 영향을 미쳤으며, 실내 색채의 어울림이 배경음악의 어울림보다 부정적 감정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레스토랑 분위기와 색채, 음악의 조화에 대한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staurant in-store color and music congruency on consumer's emotional responses and behavioral intentions. The web survey was conducted among 400 customers(aged from 20~39 years old) who lived in Seoul and Kyunggi, Incheon Province. To find ensemble effect of color and music, 3D studio MAX were used to make high-stimulus(exciting) and low-stimulus(calm) and 3D virtual reality restaurant simulation stimulus were applied. The statistical data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PSS/WIN 18.0 and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conducting factor analysis, emotional responses were classified into 2 factors: positive emotion and negative emotion. Satisfaction was classified into 1 factor: satisfaction. Loyalty was classified into 1 factor: loyalty. Cronbach's alpha was calculated for the reliability of the survey instrument. Consequently, restaurant in-store color and music congruency were shown to affect positive emotion and negative emotion. Positive emotion and negative emotion were shown to affect satisfaction. Satisfaction were shown to affect loyalty. Music congruency had a higher effect on positive emotion than color congruency. Color congruency had a higher effect on negative emotion than music congruency.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a basis of color and music congruency with restaurant atmospherics.

저자
  • 조미나(수원대학교 호텔관광학부) | Jo, Mi-Na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