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프랙탈 이미지를 이용하여 본 미적 경험의 뇌 활성화: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연구 KCI 등재

Neural correlates of the aesthetic experience using the fractal images : an fMRI stud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673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본 연구에서는 객관적인 아름다움에 대한 주관적인 미적 경험으로서의 인지적, 감정적 경험에 관여하는 뇌 활성화 과정을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여 검토해 보았다. 우선, 프랙탈 이미지에 대한 미적평가 행동과 제로 보편적인 아름다움의 준거를 확인하였다. 평정 결과에 기초하여, 전체 270개 이미지 중 가장 점수가 높은 50개를 아름다운 이미지로, 점수가 낮은 50개를 아름답지 않은 이미지로 선정하였다. 두 가지 조건을 블록으로 제시한 신경영상 연구 결과, 아름답다고 평가한 이미지에 대해서는 미적 경험에 관여하는 인지적, 정서적 처리에 관여된 부위인 전두엽과 대상회와 뇌섬엽이 활성화되었으며, 아름답지 않다고 평가한 이미지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정서와 관련된 중후두회와 전설소엽의 활성화가 관찰되었다. 아름다움 평가에 대한 조건별 접속분석의 결과, 미적평가가 긍정적인 이미지에 대해서는 측두엽의 활성화가, 부정적인 이미지에 대해서는 두정엽의 활성화가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의미론적 해석과 추상화 과정과 연결하여 논의하였다.

The current study examined brain regions associated with aesthetic experience to fractal images using functional MRI. The aesthetic estimations of the images showed that there is a general consensus regarding the perception of beautiful images. Out of 270 fractal images, fifty images rated highest(beautiful images) and fifty images rated lowest(non-beautiful images) were selected and presented to the participants. The two conditions were presented using the block design. Frontal lobes, cingulate gyri, and insula, the areas related to the cognitive and emotional processing in aesthetic experience, were activated when beautiful images were presented. In contrast, the middle occipital gyri and precuneus, the areas associated with experience of negative emotions, were activated when non-beautiful images were presented. The conjunction analysis showed activations in temporal areas in response to beautiful images and activations in parietal areas in response to non-beautiful imag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eautiful images elicit semantic interpretations whereas non-beautiful images facilitate abstract processes.

저자
  • 이승복(충북대학교 심리학과) | Lee, Seung-Bok 교신저자
  • 정우현(충북대학교 심리학과) | Jung, Woo-Hyun
  • 손정우(충북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 Son, Jung-Woo
  • 조성우(충북대학교 심리학과) | Jo, Seong-W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