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내현적 주의와 재정향이 탐지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effects of endogenous attention and reorienting on performance of detection task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676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내현적 주의와 재정향이 탐지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반응촉진과 회귀억제를 통해 탐색하였다. Posner와 Cohen(1980)의 고전적인 탐지패러다임에서는 단서를 제시하고 일정한 자극제시시차 후 그 단서와 같거나 또는 다른 위치에 나타나는 표적에 대한 탐지수행을 관찰한다. 본 연구에서는 내현적 주의를 유발하기 위해 단서가 표적에 대해 예측력을 가지도록 조작하였고, 단서자극과 표적 사이에 새로운 단서(재정향단서)를 삽입하여 재정향을 유도하였다. 실험 1에서는 재정향단서가 제시되는 시기를 초기, 중기, 후기로 구분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재정향이 제시되는 시기별로 자극제시시차(150ms, 400ms, 850ms)에 따라 다른 양상의 반응촉진 및 회귀억제가 발생하였으나, 해석 가능한 일정 패턴을 확인하기는 어려웠다. 하지만 재정향이 초기에 발생한 실험조건을 재분석한 결과, 반응촉진과 회귀억제가 자극제시시차에 따라 교차하여 나타나는 단순탐지과제의 전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실험 2에서는 실험 1에서 재정향이 초기에 발생하는 조건에 대한 추가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자극제시시차가 짧을 때는 반응촉진이 발생하였으며 자극제시시차가 길때는 회귀억제가 발생하였다. 이 결과는 단서자극이 표적에 대한 예측력을 가질 때 자극제시시차가 긴 조건에서 회귀억제가 사라진다는 기존의 보고(Wright & Richard, 2000)와 반대되는 결과이다. 이 결과는 최초 단서가 제시된 후 회귀억제의 효과가 소멸되기 전에 매우 빠르게 제시되는 재정향단서는 이중 회귀억제를 가져온다는 것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내현적 주의에 의해 특정한 위치에 주의를 할당할 때에도 반복적으로 빠르게 제시되는 단서자극은 회귀억제를 극대화함으로써 내현적 주의를 상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We tested the effects of endogenous attention and reorienting on the performance of detection task. In the classic detection paradigm of Posner and Cohen (1980), performance on target detection is measured, where target appears either on the same or difference spatial location of cue stimulus after brief period of SOA (stimulus onset asynchrony). In this study, we induced exogenous attention by manipulating predictability of cue for target, and also induced reorientation by inserting additional (reorienting) cue between initial cue and target. Experiment 1 had three conditions of reorienting speed: Early, middle, and late. Facilitation and IOR (inhibition of return) occurred in different forms depending on SOA and reorienting speed, but we were not able to discover interpretable pattern in the results. However, reanalysis of early reorienting condition revealed that facilitation and IOR occurred in a crossed manner where short SOA found facilitation and long SOA did IOR, the typical results of simple detection task. Experiment 2 collected additional data to replicate the results in early reorienting condition of experiment 1. The results obtained that facilitation occurred with short SOA and IOR with long SOA. These results contrast with those of Wright and Richard (2000) where they reported elimination of IOR when cue had predictability of target loca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dditional cue (here, orienting cue), which rapidly appears before extinction of IOR by prior cue, brings about double IOR. The present research demonstrates that even when attention is allocated to certain location via endogenous mechanism, rapidly repeating cues in certain location maximizes IOR that offsets the effects of endogenous attention to the same location.

저자
  • 고재형(광운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산업심리학과) | Ko, Jae-Hyeong
  • 김신우(광운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산업심리학과) | Kim, Shin-Woo 교신저자
  • 이형철(광운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산업심리학과) | Li, Hyung-Chul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