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넥타이의 폭, 스트라이프의 배열과 면적비에 따른 소비자 감성 평가 KCI 등재

The Consumer Sensibility Evaluation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and Area-ratio of a Stripe, and the Necktie Width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677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넥타이의 폭, 스트라이프의 배열과 면적비에 따른 소비자 감성을 알아보는 데 있었다. 본 연구의 측정 도구는 자극물과 소비자 감성 척도로 이루어져 있었다. 자극물은 넥타이 폭(좁은, 중간, 넓은), 스트라이프 배열(가로, 세로, 사선), 스트라이프 면적비(1:1, 1:2, 1:3)로 된 27개의 컬러 그림으로 조작되었으며, 소비자 감성은 7점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서울, 광주, 대구, 진주, 창원 등지에 거주하는 20-30대 성인남녀 270명을 대상으로 하여 2011년 11월에 수집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프로그램에 의해 변량분석과 Duncan-test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넥타이의 폭, 스트라이프의 배열과 면적비에 따른 소비자 감성은 매력성, 품위성, 개성, 능력성, 활동성의 5개 차원으로 구성되었다. 넥타이 폭은 매력성, 품위성에서 독립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스트라이프 배열은 매력성, 품위성, 개성, 능력성에서 독립적인 효과가 나타났고, 스트라이프 면적비는 품위성에서 독립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넥타이 폭과 스트라이프 면적비는 능력성에서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넥타이 상품 기획 시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sumer sensibility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and area-ratio of a stripe, and the necktie width. The experimental materials developed for this study were a set of stimuli and necktie sensibility scales. The stimuli were 27 color pictures, in which the necktie width(narrow, medium, wide), stripe arrangement(horizontal, vertical, oblique), and stripe area-ratio(1:1, 1:2, 1:3) were manipulated. The 7-point scale was used for the consumere sensibility. Data were obtained from 270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30s living in Seoul, Gwangju, Daegu, Jinju, and Changwon on November 2011. For the data analysis, ANOVA and Duncan-test were used by using SPSS program.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factors of consumer sensibility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and area-ratio of a stripe, and the necktie width consisted of five dimensions of attractiveness, grace, individuality, ability, and activity. The necktie width showed an independent effect on attractiveness and grace. The stripe arrangement showed an independent effect on attractiveness, grace, individuality, and ability. The stripe area-ratio showed an independent effect on grace. Also, interaction effects of the necktie width and stripe area-ratio on ability were found. The study results are highly expected to be used as valuable sources in plans for necktie products.

저자
  • 최수경(마산대학교 뷰티케어학부) | Choi, Soo-Kyoung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