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1.
        201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ensibility images when the direction and width of stripes change on semi-tight skirts. The researcher made 12 stimuli consisting of images of skirts with a combination of six stripe directions and two stripe widths. The images were assessed by 126 subjects who were students majoring in apparel. Three sensibility image factors were found: personality, attractiveness, and activity. Images of skirts with different stripe directions were perceived as having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se factors. Stripe widths of 1.5cm and 3cm in upward diagonal, vertical side line, and downward diagonal directions influenced the personality factor. Diagonal stripes with a width of 1.5cm positively influenced attractiveness and activity. Stripes in a vertical direction increased attractiveness when the stripe width was 1.5cm rather than 3cm. Although the interaction of stripe direction and width significantly influenced perceptions of attractiveness and activity in images of semi-tight skirts, they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personality.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stripe direc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or all factors. This analysis indicated that each factor has its own independent influence. Stripe width had major independent effects, showing significance in attractiveness and activity. However, personality did not indicate any significant differ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women select suitable clothing according to their individual preferences and body shapes by influencing how images are depicted because women will be able to use the images to estimate their body images when the skirts are put on.
        4,200원
        2.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넥타이의 폭, 스트라이프의 배열과 면적비에 따른 소비자 감성을 알아보는 데 있었다. 본 연구의 측정 도구는 자극물과 소비자 감성 척도로 이루어져 있었다. 자극물은 넥타이 폭(좁은, 중간, 넓은), 스트라이프 배열(가로, 세로, 사선), 스트라이프 면적비(1:1, 1:2, 1:3)로 된 27개의 컬러 그림으로 조작되었으며, 소비자 감성은 7점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서울, 광주, 대구, 진주, 창원 등지에 거주하는 20-30대 성인남녀 270명을 대상으로 하여 2011년 11월에 수집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프로그램에 의해 변량분석과 Duncan-test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넥타이의 폭, 스트라이프의 배열과 면적비에 따른 소비자 감성은 매력성, 품위성, 개성, 능력성, 활동성의 5개 차원으로 구성되었다. 넥타이 폭은 매력성, 품위성에서 독립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스트라이프 배열은 매력성, 품위성, 개성, 능력성에서 독립적인 효과가 나타났고, 스트라이프 면적비는 품위성에서 독립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넥타이 폭과 스트라이프 면적비는 능력성에서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넥타이 상품 기획 시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4,000원
        3.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남농업기술원 화훼육종연구소에서 1997년부터 교배 조합 육성을 위하여 국내의 재배농가와 종묘업체로부터 유전자원을 수집한 후, 2000년부터 2006년에 걸쳐 교배 및 계통선발육종을 하였다. 2006년부터 2008년까지 3회 의 특성검정을 거쳐서 호접란 신품종 ‘옐로우 크림’을 개발하였다. ‘옐로우 크림’은 황색스트라이프 대륜계 꽃 을 가진 품종으로 설판은 적색을 띤다. 꽃 크기가 10.3 cm 이상이 될 정도로 꽃이 큰 편이며 대비품종에 비해 화형은 둥글고 립이 붉으며 꽃잎의 모양이 반원형 으로 아름다운 모양을 가지고 있다. 또한 꽃배열도 우수 하며 꽃수도 많은 편이다. 엽색은 연한 녹색이며 생육속 도도 빠르고 재배하기가 용이하다. 평균 꽃 수명 또한 55일 이상으로 길다. 소수의 품종만이 시장에 나와 있는 황색 스트라이프 계통의 신품종으로서 국내외 시장에서 기호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3,000원
        4.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about the strife patterns in modern fashion and the characteristics inherent in them. The study was aimed at offering the basic materials to develop the creative design that can show various visual expression effects. In terms of method, the study was led by the analysis of documents; domestic and foreign fashion, collection magazines etc were used to analyze the strife patterns in modern fashion. According to the findings, the study used the rearrangement of the strife patterns at the same intervals, the arrangement of different strife patterns within one single item, the hybrid arrangement of strife patterns and different patterns, and the use of strife patterns for a certain part of clothing for the purse of emphasis or decoration. First, the characteristics inherent in such strife patterns showed clear simplicity using the same repetition of simple lines or the two colors of black and white. Second, strife patterns changed silhouettes by causing optical illusion, and showed the rhythm effects, such as swelling, wave or movement by distorting and controlling lines or forms. Third, based on irregular intervals or multi-strife, the concept of unclear disharmony and inconsistency was shown with the beauty of hybridharmony by blending various strife patterns with each other, or strife patterns with different patterns, and thus expressing composite images.
        4,200원
        5.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동일색조 코디네이션과 1:2:3면적비 변화에 따른 스트라이프 넥타이의 감성이미지와 상호작용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들 단서로 사용된 56개 자극물은 4가지 색조합, 2가지 색조, 7가지 면적비로 구성되었고, 감성이미지는 26개의 형용사쌍에 대해 7단계로 평가되었다. 조사대상자는 경남, 서울, 부산, 대구 등지에 거주하는 대학생 1344명의 피험자로 하였으며, 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동일색조 코디네이션과 1:2:3면적비 변화에 따른 스트라이프 넥타이의 감성이미지를 요인분석한 결과 매력성, 젊음 활동성, 현시성, 능력성, 온유성의 5가지 차원으로 도출되었다. 색조합과 색조는 감성이미지의 모든 요인에서 독립적인 영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색조는 면적비와 상호작용하여 현시성과 능력성 요인에서 두드러진 단서로 작용하였다. 성별과 면적비는 젊음 활동성 요인에서, 성별과 색조는 온유성 요인에서, 색조합과 색조는 현시성과 온유성 요인에서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남성 코디네이션을 위한 효과적인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4,300원
        6.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meant to offer the data for predicting the product plan answering the diverse demands for consumers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image and formative property by transforming the stripe patterns. The concrete study way is composed of the collected stimulus centering on the interval of the stripe pattern and value contrast coloration. Consequently 192 stimuli, changed by the pattern direction and pattern interval, clothing style, and contrast coloration, are selected. The experimental materials made for this study are a set of stimuli and response scale. The statistics way used in analysis was factor analysis, ANOVA, dispersion analysis, multiple classific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ed as following. Firstly, In the value contrast, a pair of 27 adjectives were made of attractiveness, activeness, gracefulness, visibility, and tenderness dimension. Secondly, the direction of the pattern, interval, clothing style, and contrast coloration were respectively transformed according to value contrast.
        4,900원
        7.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유채-무채 배색, 면적비, 성별이 남성복 착용자의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들 단서로 사용된 84개의 자극물에 대한 이미지를 평가하기 위해 경남, 서울, 부산, 대구 등지에 거주하는 남녀 대학생 2016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26쌍의 의미미분척도를 요인 분석하여 이미지 차원을 밝혔다. 그 결과 이들 단서들이 어떻게 조합되어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유채-무채 배색, 면적비, 성별에 따른 3색 사선 스트라이프 넥타이 착용자의 이미지 차원은 젊음.활동성, 능력성, 매력성, 현시성, 온유성의 5개 차원으로 도출되었으며, 유채-무채 배색, 면적비, 지각자의 성별이 이미지 형성에 미치는 영향은 이미지 차원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넥타이 디자인 기획 시 소비자의 감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자료제시가 될 것으로 본다.
        4,600원
        9.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텍스타일 패턴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의 감성을 반영하는 한 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블록 스트라이프 패턴 (block stripe pattern)에 대한 디자인 요소를 조사하였다. 자극물은 명도차(3가지), 배열(2가지), 폭(2가지), 간격(3가지)의 4가지 요소를 조작하여 구성되었다. 36가지 조합 중에서 사전 조사에서 독립적인 감성을 보이는 27개를 최종 자극물이 선정되었으며, 남녀 대학생 30명을 대상으로 감성평가를 실시하였다. 4가지 디자인 요소가 요인분석을 통해 도출된 12개의 감성차원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고, 물리량에 근거한 정량적 분석을 통해 각 자극물과 감성과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각 디자인 요소가 감성에 미치는 영향을 ANOVA 분석한 결과, 명도차, 간격, 폭, 배열의 순서로 의미있는 감성차이를 유발하였으며 명도차는 거의 모든 감성에서 감성차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설명력 높은 디자인 요소로 분석되었다. 디자인 요소 레벨에 따른 감성의 차이를 살펴보면, 폭이 좁을수록 '수수한', '깨끗한', '모던한', '심플한', '편한' 감성을, 간격이 좁을수록 '강렬한', '보수적인' 감성을, 명도차가 작을수록 '고급스러운', '모던한', '수수한', '심플한', '점잖은', 보수적인', '소프트한', '깨끗한', '편한' 감성을 나타내었다. 감성을 요소별 물리량으로 예측한 회귀모형을 도출한 결과, 12개의 감성 중 '보수적인', '캐주얼한', '모던한' 감성을 제외한 모든 감성에 대해 R²가 0.6 이상의 높은 적합도를 보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소비자 감성이 반영된 2가지 디자인 프로토타입을 제시하였다.
        4,000원
        10.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Phalaenopsis cultivar Hwasu 3551 was bred b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Korea, which produces young plants through tissue culture techniques. The new cultivar Hwasu 3551, showing the phenotype of pink colored large stripe type characteristics, was derived from crossing between Phalaenopsis Minho Princess and Minho Stripes. An elite individual number '03-35-51' later coined as 'Hwasu 3551' was selected among about 300 individual progenies for more than 2 years intensive selection process covering vegetative and flowering distinctiveness. In year 2006-2007, the 1st and 2nd characteristic analysis were carried out through performance and uniformity test. The Hwasu 3551 shows that flower color is bright clean pink (RHS#RP69D) and flower shape is formal type with size of 7.4 and 8.8cm in flower length and width, respectively. Hwasu 3551 is regarded as raceme flower type suitable large flower pot market. The leaf of Hwasu 3551 is rowing horizontally and about 22.3cm in length and 9.4cm in width, respectively. This cultivar also possesses no genetic variation, fast invitro propagation and easy growing due to vigorous growth habit. This Hwasu 3551 is registered (Reg.#:2917) to Korea Seed & Variety Service (KSVS) in 1st December, 2009 and PBR (plant breeder's right) is currently controlled by Sangmiwon Orchid Company,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