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비모수 분석모형(DEA)을 활용한 국내 온라인게임 기업의 인적자본 효율성 연구 KCI 등재

A Study of the Human Capital Efficiency in the Korean Online Game Business using Non-parametric Analysis Model(D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709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한국게임학회 (Korea Game Society)
초록

본 논문은 21세기 지식기반 경제의 가치 창출 원천이 새로운 아이디어와 창의성의 주체인 인적자본에 있음을 근거로 국내 온라인게임 기업 인적자본 운영의 효율성을 연구해보았다. 온라인게임 산업은 최근 국가 신성장 동력으로 주목 받고 있는 문화콘텐츠 서비스업의 하나로, 세계 최고의 기술과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여 높은 연평균 성장률과 수출 공헌도를 보이고 있는 산업이다. 이런 맥락에서 본 논문은 인적자본이론, 지식경제이론, 경제성장이론에 기초하여 온라인게임 산업에서 인적자본이 지속적인 성장을 견인할 수 있음을 이론적으로 규명하였다. 또한 대표적인 비모수적 분석모형인 자료 포락 분석(DEA)을 통하여 국내 온라인게임 기업의 인적자원 운영 규모, 투자, 교육, 보상의 투입 효율성을 기업의 산출이라고 할 수 있는 매출을 기준으로 실증 분석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국내 온라인게임 기업들에게 미래의 지속 가능한 성장 동력인 인적자본을 운영함에 있어 최적의 효율성을 달성할 수 있도록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uman capital in Korea's online game industry (as the representative of IT-based creative services) under the knowledge-based economy paradigm. In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intellectual capital closely intertwined with human capital and the economic potential of the online game industry, Korean government has begun to show active support. In this context, this study measures the human capital efficiency in online game business by using non-parametric analysis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Most previous studies (human capital theory, knowledge based economy theory, economic growth theory) have proved that human capital has a very positive effect on sustainable growth of corporate management and wealth of nations. As such, this paper uses the DEA to obtain the efficiency of the human capital (scale, investment, education, compens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uggest strategic implications on maximizing the human capital in online game corporations and provide a reference frame for government policies.

저자
  • 윤건우 | Yoon, Gun-Woo
  • 유승호 | Ryu, Seoung-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