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3D게임의 입체영상효과와 피로도에 대한 실험연구: 뇌생리학 측정의 결합 KCI 등재

An Experimental Study of Stereoscopic Image and Fatigue Effect for 3D Video Game: Linking Cerebral Physiologic Measur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738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한국게임학회 (Korea Game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3D 입체영상게임의 영상효과와 실재감, 피로도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플레이테스트 실험처치 방법론을 통해 2D게임과 비교하여 효과를 분석하였다. 첫째로 3D게임과 2D게임에 대해 사용자들의 영상경험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했던 가설은 영상선명도를 제외하고 실물감, 입체감, 실재감가설 모두 채택되었다. 둘째로 3D게임과 2D게임은 안구피로도와 신체피로도 모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그동안 3D 입체영상에서 발생하는 영상왜곡과 피로 유발요인으로 피로도가 발생한다고 하는 기존의 연구결과와는 다른 것이다. 셋째로 3D게임과 2D게임 플레이과정에서 발생한 뇌파의 변화를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 EEG 알파파의 평균 진폭은 차이가 없었으나 EEG 베타파는 더 높은 진폭대로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전통적인 실험연구 방법에 EEG 뇌파측정을 방법론적으로 보완하여 3D 입체영상게임의 사용경험과정에서의 뇌생리학적 변화와 차이를 검증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by comparing it with 2D game using playtest experimental treatment methodology to verify the video effect, materiality and fatigue effect of 3D video game. First, for the hypothesis to verify the difference of video experience of users for 3D and 2D games, visual clarity was rejected, but materiality, tangibility and presence hypotheses were all accepted. Second, it was shown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eye fatigue and physical fatigue in 3D and 2D games. It was different from results of existing research which claimed that fatigue occurred due to video distortion occurring in 3D video and fatigue inducing factors. Third, the results of measurement of changes in brain wave occurring in the course of playing 3D and 2D games show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average amplitude of EEG alpha wave, but EEG beta wave occurred in higher amplitude. This study proved the cerebral physiological change and difference in the process of experience to use 3D video game by complementing the methodology in measurement in EEG brain wave in the traditional experimental method.

저자
  • 노기영 | Noh, Ghee Young
  • 장한진 | Jang, Han J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