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우 사육에 이웅한 황토(풍화토)의 입도분리에 따른 광물성분 및 화학적 특성 KCI 등재

Mineralogy and Chemical Properties according to Particle Size Separation of Hwangto (Reddish Residual Soil) used in Feeding of Cattl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759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광물과 암석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한국광물학회 (The Mineralogical Society Off Korea)
초록

전북 익산지역의 한우사육에 사용한 황토를 gravel, sand, silt, coarse clay, fine clay으로 입도분리하여 각 분리된 시료에 대해서 광물성분 및 화학적 특성 등을 검토하였다 광물성분의 분석 결과, gravel과 sand에는 석영과 장석이 주로 포함되고, clay와 silt떼는 카오린광물 및 일라이트 등의 점토광물이 우세하며, 산화철광물은 fine clay에서 주로 포함된다. 주성분원소에서는 입경이 작은 시료일수록 Al, Fe, H2O의 함량이 증가하여 점토광물의 함량 증가와 잘 일치하였다. 미량성분원소에서는 Zn, Rb, Sr, Ba, Pb등이 입도에 따라 큰 함량 차이를 보였다. Ba, Sr은 장석이 많은 sand에 다량 함유되어 주로 장석에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래 황토 시료에 상당량 함유된 Pb 및 Sm은 입도분리된 시료에는 적은 함량을 나타내어, 입도 분리 과정에서 제거되기 쉬운 형태로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Nb, La, Th, Ce 등은 silt 시료에 가장 많은 함량을 보였다. 이들 이외의 거의 모든 원소에서 점토광물의 함량이 많이 함유된 작은 입도시료에서 미량원소의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 나타나 이들 대부분이 점토광물내에 주로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교환성양이온 함량과 산 및 알카리에 의한 용탈 원소 함량 등은 입자가 작은 점토시료에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가축사료 등 황토의 활용에 있어서 천연상태의 황토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보다는 입도 분리에 의한 정제를 행한 미립의 점토분을 주로 사용하는 것이 황토의 이온교환성, 원소 용탈성, 흡착성, 흡수성 등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Mineral composition and chemical properties of Hwangto (reddish residual soil) that used in feeding of cattles at Iksan, Jeollabuk-do, Korea were examined according to particle size separation such as gravel, sand, silt, coarse clay and fine clay. Mineral composition analyses reveal that gravel and sand are mainly composed of quartz and feldspars and that kaolin mineral and illite are dominant in clay and silt. Iron oxides are mainly included in fine clay. According to chemical analyses of major elements, Al, Fe and H2O contents are increased with decreasing of particle size. This trend well agrees with increase of clay minerals in smaller particles, Chemical analyses of trace elements indicate that contents of Zn, Rb, Sr, Ba, Pb significantly differ with particle sizes. Ba and Sr are included in feldspars since these elements are abundant in sand containing abundant feldspars. Pb and Sm are abundant in sample before particle size separation, but the contents a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separation. Therefore, most of these elements appear to be existed as removable phase. Nb, La, Th, Ce are more abundant in silt. The contents of all the other trace elements tend to be increased in smaller particles containing more clay minerals. The contents of changeable cations and teachable elements in acid and alkali solutions are high in clay samples. All the above results indicate that using the portion of smaller particle of Hwangto for livestock feed rather than bulk Hwangto can improve cation exchangeable capacity, ion leaching capacity and sorption properties.

저자
  • 황진연
  • 박현진
  • 양경희
  • 이효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