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제주도 현무암에 포획된 세립질 맨틀 페리도타이트 포획암의 조직적 특성 KCI 등재

Textural Implications of Fine-Grained Peridotite Xenoliths in Basaltic Rocks from Jeju Islan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780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광물과 암석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한국광물학회 (The Mineralogical Society Off Korea)
초록

제주도 동남부 신산리 해안가에 분포하는 현무암에 세립질의 맨틀 페리도타이트가 드물게 포획되어 있으며, 반상쇄정 잔류물의 거정질 입자와 세립질의 입자로 구성된 조직적 특성에 의해 반상쇄정의 페리도타이트 맨틀포획암(FPP)으로 정의된다. 조사되어진 FPP들의 서로 유사한 조직적 특성과 주성분원소 조성은 FPP가 하나의 구조 영역에서 유래했음을 지시한다. 또한 킹크밴드를 가지는 거정의 반상쇄정(2~3mm) 사이에 변형의 흔적이 없는 세립질의 입자(200~300μm)로 구성된 쌍봉분포, 삼중점과 직선형의 입자경계, 간극사이에 형성된 멜트포켓, 입자경계가 이동했음을 나타내는 미세구조 등은 FPP가 동력재결정작용 ± 정적재결정작용을 경험하였음을 반영하고 있다. 이러한 변형사건에는 멜트/유체의 이동이 있었으며, 특히 엽리면을 따라 일어났다. 신산리 지역에 가장 흔하게 산출되는 프로토그라뉼라 조직의 맨틀포획암과 FPP는 매우 유사한 주성분원소 조성을 보이는데, 이는 FPP가 프로토그라뉼라 조직의 포획암과 비슷한 상부맨틀 깊이에 위치하고 있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FPP의 조직적 특성과 주성분원소 조성은 FPP가 지엽적인 소규모의 좁은 영역에 관여한 변형사건을 경험하였음을 나타낸다. 이 변형사건의 실체에 대한 것은 앞으로 좀 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나, 제주도가 만들어지기 이전의 상부맨틀 암석권에서 마그마의 상승과 관련된 단층작용에 의해 형성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한다.

Fine-grained peridotite xenoliths are rarely trapped in the basaltic rocks from the southeastern part of Jeju Island. Based on tex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onstituent phases showing uniform-sized, fine-grained tabular to mosaic grains with rare porphyroclastic relics, the studied samples can be defined as fine-grained, foliated porphyroclastic peridotites (FPP). Almost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FPPs in textures and major element compositions implies that the FPPs were derived from a structural domain, experiencing similar deformation events and deformation patterns. Moreover, the bimodal distribution with kink-banded porphyroclasts (2~3mm) and stain-free neoblasts (200~300μm), straight to gently curved grain boundaries with triple junctions, interstitial melt pockets, and microstructures for migrating grain boundary suggest that the studied samples went through dynamic recrystallization (± static recrystallization) in the presence of melt/fluid movement along foliation planes. No notable difference between the FPP and common protogranular xenoliths in major element compositions and geochemical evolution also implies that the FPP and protogranular xenoliths were from a similar horizon. Thus, the textural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FPPs reflects deformation events occurred at a localized and narrow zone within the lithospheric mantle beneath the Jeju Island. Although further detailed studies are necessary to define deformation events, the most possible process which could trigger deformation in the FPP in the rigid upper mantle was the ascending basaltic magma forming high-stress deformation zones. The suggested high-stress deformation zones in the lithosphere beneath the Jeju Island may be produced by paleo-faulting events related to the ascent of basalt magma before Jeju Island was formed.

저자
  • 양경희 | Yang, Kyoung-Hee
  • 남복현 | Nam, Bok-Hyun
  • 김진섭 | Kim, Jin-Se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