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지구물질의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삼차원 공극 구조 규명: 핵자기공명 현미영상 연구 KCI 등재

3-Dimensional μm-Scale Pore Structures of Porous Earth Materials: NMR Micro-imaging Stud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783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광물과 암석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한국광물학회 (The Mineralogical Society Off Korea)
초록

지표-지각환경을 구성하는 지질매체의 구조와 성질의 정량적-체계적 이해를 위한 예비연구로, 매질을 구성하는 입자의 모양, 크기, 충전 밀도가 공극 구조의 특성과 매질의 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입자의 모양이 구형인 글래스 비드와 모양이 불규칙한 실리카 젤을 이용하여 입자 크기와 공극률이 서로 다른 다양한 다공성 매질을 준비하였고, 핵자기공명 현미영상을 이용하여 약 50 μm의 분해능으로 삼차원 영상을 획득하였다. 분석 결과, 지름 약 0.2~1.3 mm 크기의 입자로 구성된 다공성 매질의 비표면적은 2.5부터 9.6 mm2/mm3, 공극률은 0.21에서 0.38, 투수율은 11.6에서 892.3 D이며, 이는 일반적인 미고결 샌드가 갖는 값의 범위에 해당된다. 비표면적, 공극률, 투수율의 관계는 Kozeny 식에서 예상된 경향과 비교적 일치하였다. 상자집계 프랙탈 차원은 공극률, 비표면적과의 관련성이 높으며, 공극률이 0.29~0.38일 때 비표면적이 약 2.5부터 6.0 mm2/mm3까지 증가할수록 프랙탈 차원이 2.6에서 3.0까지 선형으로 증가하며, 공극률이 0.21~0.28일 때 비표면적이 약 2.5부터 9.6 mm2/mm3까지 증가할수록 프랙탈 차원이 2.5에서 3.0까지 선형으로 증가한다. 실제 다공성 사암에 포함된 유체의 삼차원 구조를 핵자기공명 현미영상으로 영상화하였고, 이에 대한 비표면적은 0.33 mm2/mm3, 공극률은 0.017, 투수율은 30.9 mD, 상자 집계 프랙탈 차원은 1.59로 계산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것과 같이 핵자기공명 현미영상은 다양한 다공성 매질의 삼차원 공극 구조를 영상화할 수 있고, 삼차원 공극 구조에 대한 상자집계 프랙탈 차원은 본 연구에서와 같이 다양한 공극 구조에 대해 분석이 가능하며, 다공성 매질의 이동 특성을 나타내는 매개 변수들과 지진파 감쇠 등에 대한 조절 인자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We explore the effect of particle shape and size on 3-dimensional (3D) network and pore structure of porous earth materials composed of glass beads and silica gel using NMR micro-imaging in order to gain better insights into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e and the corresponding hydrologic and seismological properties. The 3D micro-imaging data for the model porous networks show that the specific surface area, porosity, and permeability range from 2.5 to 9.6 mm2/mm3, from 0.21 to 0.38, and from 11.6 to 892.3 D (Darcy), respectively, which are typical values for unconsolidated sands. The relationships among specific surface area, porosity, and permeability of the porous media are relatively well explained with the Kozeny equation. Cube counting fractal dimension analysis shows that fractal dimension increases from ~2.5-2.6 to 3.0 with increasing specific surface area from 2.5 to 9.6 mm2/mm3, with the data also suggesting the effect of porosity. Specific surface area, porosity, permeability, and cube counting fractal dimension for the natural mongolian sandstone are 0.33 mm2/mm3, 0.017, 30.9 mD, and 1.59, respectively. The current results highlight that NMR micro-imaging, together with detailed statistical analyses can be useful to characterize 3D pore structures of various porous earth materials and be potentially effective in accounting for transport properties and seismic wave velocity and attenuation of diverse porous media in earth crust and interiors.

저자
  • 이범한 | Lee, Bum-Han
  • 이성근 | Lee, Sung-Ke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