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고씨동굴 박쥐배설물 (Bat Guano) 퇴적층에 기인된 이차 인산염 및 황산염광물 특성 KCI 등재

Mineralogy of Secondary Phosphates and Sulfates Precipitated within the Sequence of Bat Guano Deposits in the Gossi Cave,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788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광물과 암석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한국광물학회 (The Mineralogical Society Off Korea)
초록

고씨동굴 내에 퇴적되어 있는 박쥐배설물을 대상으로 박쥐배설물 퇴적층에 생성된 인산염 및 황산염광물상들의 동정과 광물학적 특성연구를 통해 이들 광물상들의 지화학적 생성환경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박쥐배설물 내 및 하부에 침전된 물질들은 대부분 인산염 및 황산염광물로 확인되었다. 인산염광물로는 francoanellite, taranakite, ardealite, brushite, monetite가 관찰되었으며, 황산염광물로는 석고와 중정석이 관찰되었다. 인산염 광물은 하부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taranakite → francoanellite → ardealite → brushite → monetite의 변화양상을 보이는 반면 황산염광물 석고는 단면 전반에 걸쳐 확인되며, 특히 침전물 층 상부에 농집되어 나타난다. 중정석은 박쥐배설물 내에 소량 산재되어 나타난다. 인산염광물들의 침전과 이들의 수직적 광물상 변화양상은 박쥐배설물로부터 이들이 생성된 지화학적 조건이 산성환경이며, 하부로 갈수록 수분함량이 낮아지는 상대적인 건조한 환경이었음을 지시한다.

Mineralogical characterization was performed for the mineral assemblages precipitated at the boundary between limestone bedrock and bat guano deposits in the Gossi Cave, Korea. Francoanellite, taranakite, ardealite, brushite and monetite are observed as phosphate minerals and gypsum and a small amount of barite as sulfate minerals in the guano deposits. With the increase of depth, phosphates are changed as following sequence: taranakite → francoanellite → ardealite → brushite → monetite. This sequence indicates that the major parameters controlling the physico-chemical conditions under which these mineral assemblages were deposited are pH and relative humidity.

저자
  • 전창표 | Jun, Chang-Pyo
  • 이성주 | Lee, Seong-Joo
  • 공달용 | Kong, Dal-Yong
  • 강일모 | Kang, Il-Mo
  • 송윤구 | Song, Yun-G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