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통계적 주성분분석법을 활용한 제주 남서 이질대 퇴적물의 기원지 연구 KCI 등재

Sediment Provenance of Southwestern Cheju Island Mud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796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광물과 암석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한국광물학회 (The Mineralogical Society Off Korea)
초록

제주 남서 이질대에서 채취된 138개의 해양표층퇴적물 시료와 황하와 양쯔강 하천퇴적물 시료에 대하여 반정량 X선회절분석법에 의한 점토광물 상대조성을 바탕으로 주성분분석을 이용하여 퇴적물의 기원지를 연구하였다. 제1주성분과 제2주성분이 전체 자료의 90% 이상을 설명하기 때문에 두 주성분만을 가지고 R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주성분분석을 실시하였다. 제주 남서 이질대 내 각각의 점토광물의 분포양상은 매우 복잡하지만, 전체적인 분포양상을 고려할 때, 스멕타이트와 카올리나이트는 서부지역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고 일라이트와 녹니석은 동부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냈다. 제주 남서 이질대의 동부지역에서 보여주는 상대적으로 높은 일라이트와 녹니석 함량은 양쯔강 퇴적물과, 서부지역에서의 높은 스멕타이트와 카올리나이트 함량은 황하 퇴적물과 더 유사한 양상을 나타낸다. 이러한 통계 처리 결과를 바탕으로 제주 남서 이질대의 동부지역은 양쯔강에서 유래하였고 서부지역은 황하로부터 기원했음을 추정할 수 있다. 추후 퇴적물 기원지 연구에 주성분분석이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In this study, we tried to define the origin of fine-grained sediments in Southwestern Cheju Island Mud (SWCIM)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e used relative clay mineral compositions using 138 marine surface sediments, 4 Huanghe sediments and 3 Changjiang river sediments by the semi-quantitative X-ray diffraction analysis. We made bioplot diagram using R program with principal component 1 and component 2 because they might contain more than 90% of all data. Although the distribution pattern of each clay minerals in SWCIM is so intricate, smectite and kaolinite contents are high in the west region, but illite and chlorite contents are rich in the east region. In the biplot, the east region of SWCIM distribute around Changjiang river, whereas west region of SWCIM disperse around Huanghe. Our results might reveal that west region of SWCIM is mainly originated by Huanghe, but east region of SWCIM by Changjiang River.

저자
  • 이윤지 | Lee, Yun Ji
  • 조현구 | Cho, Hyen Goo
  • 김순오 | Kim, Soon-Oh
  • 안성진 | Ahn, Sung Jin
  • 최헌수 | Choi, Huns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