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일반 강도용 고유동 콘크리트에서의 골재 입도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Aggregate Grading on the Performance of High-Flowing Concrete with General Strength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819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초록

고유동 콘크리트는 일반 콘크리트에 비해 고가의 각종 혼화재료를 과량 혹은 추가로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재료비 단가 상승, 추가 설비의 필요 등의 문제점이 있고, 재료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분체량을 증가시킴으로써 과잉 강도발현 등 고유동 콘크리트가 갖고 있는 많은 장점이 있음에도 특수 목적이외에는 그 사용에 있어 제약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개발된 고강도성 고유동 콘크리트와 달리 일반 강도의 고유동 콘크리트의 상용화를 위해 콘크리트 구성 재료 중에서 골재를 중심으로 이들의 합리적 활용과 콘크리트의 성능향상 모색을 위해 정량적 인자별 실험을 수행하였다. 사용한 실험변수로 물-시멘트비, 잔골재율, 골재의 조립률, 입자 크기의 중요도, 13mm 골재와 미립분의 활용에 대해 검토하였으며, 슬럼프플로와 U형 충전시험의 충전고차로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고유동 콘크리트 성상은 굵은 골재보다 잔골재 입도에 대한 의존도가 높으며, 잔골재율이 높을수록, 조립률이 낮을수록 충전성과 유동성 확보에 유리하였다. 또한, 골재의 대체재로써 13mm 골재 및 미립의 석분을 활용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충전성과 유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이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되었다.

The high-flowing concrete requires additionally or excessively more expensive admixture than conventional concrete. So, the concrete has not to be widely used in practical field due to the increase of production price, need of additional facilities, and excessive development of concrete strength in associate with addition of too much cementitious material even though it has more significant advantages than conventional concrete. Thus,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high-flowing concrete with general strength unlike high strength which has been carried out in conventional study. To observe the role of aggregate in the concrete quantitatively and to increase the performance of high-flowing concrete effectively, parametric studies were carried out such as W/C, s/a, fineness modulus of aggregate, contribution degree of particle sizes, and the effect of 13mm aggregate and fine stone powder as a partial replacement of aggregates. And the effect of these factors on performance of the concrete was evaluated by measuring slump-flow and gap of penetration height in U-typed instrument.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flowability of high-flowing concrete depends upon grading of fine aggregate more significantly than that of coarse aggregate and is enhanced greatly as fineness modulus of fine aggregate decreases and the value of s/a increases. In addition, the application of 13mm aggregate and fine stone powder are expected as a partial replacement of aggregate in order to increase the performance of high-flowing concrete more effectively.

저자
  • 김상철(한서대학교 토목공학과 교수) | Kim, Sang Chel
  • 김연태(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구조공학과 교수) | Kim, Yun Tae
  • 신동철(가천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 Shin, Dong Cheol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