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다양한 시계열을 이용한 가뭄지표 산정 KCI 등재

Estimation on Drought Indicator Using Various Time Seri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94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한국수자원학회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초록

본 연구에서는 수자원 계획 및 가뭄관리를 위해 비교적 넓은 지역에 활용할 수 있는 가뭄지표 산정을 위해 강우량, 일최고기온, 유출량, Palmer 지수 등의 다양한 계열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가뭄감시를 위해 가뭄단계를 가뭄주의보, 가뭄경보, 비상가뭄으로 구분하였으며, 각각 가뭄단계는 산정된 지수의 25%, 10%, 5%에 대한 비초과확률치로 정의하였다. 또한 가뭄지수들이 과거의 가뭄을 얼마나 잘 표현하고 있으며, 가뭄감시를 위한 가뭄지표로 활용할 수 있

In this study, the drought indicator is calculate from the rainfall, daily highest temperature, streamflow and Palmer Drought Severity Index(PDSI) for water plan and drought management in a relatively wide region. Three levels of drought severity, called

저자
  • 임경진(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 Im Gyeong-Jin
  • 심명필(Dept.of, Civil, Engineering Inha, University) | Sim Myeong-Pil
  • 성기원(Dept.of, Civil, Engineering Kunkuk, University) | Seong Gi-Won
  • 이현재(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 Lee Hyeon-Ja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