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상수관로의 노후도 예측에 근거한 최적 개량 모형의 개발 (II) - 적용 및 분석 - KCI 등재

Development of Optimal Rehabilitation Model for Water Distribution System Based on Prediction of Pipe Deterioration (II) - Application and Analysis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09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한국수자원학회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초록

본 연구(II)는 연구(I)에서 제안한 상수관로의 노후도 예측에 근거한 최적 개량 모형을 A시를 대상으로 이를 적용하였다. 노후도 예측 모형은 굴착 및 실험이 필요한 14개 항목과 굴착 및 실험이 필요하지 않은 9개 항목을 구분하여 각각 관의 노후도 등급을 산정하였다. 노후도 예측 모형 적용 결과 항목개수에 따른 등급의 차는 l~2% 이내로 굴착 및 실험을 하지 않고도 노후도 예측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적 개량 모형은 노후도 항목별 최대 잔존수명

This study(II) apply to the A city by using the optimal rehabilitation model based on the deterioration prediction of the water distribution system proposed the study(I). The deterioration prediction model divides factors into 14 factors with digging and

저자
  • 김응석(고려대학교 부설 방재과학기술연구센터) | Kim Eung-Seok
  • 박무종(한서대학교 토목공학과) | Park Moo-Jong
  • 김중훈(고려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Kim Joong-H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