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제주도의 소귀나무 자생지 조사, 실생 및 삽목번식 KCI 등재

Native Habitat Survey of Wax Myrtle in Cheju Province and Its Propagation by Seed and Cutt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200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물환경조절학회지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초록

제주지방의 소귀나무 자생지 분포조사와 방법을 구명하기 위한 삽목 번식 및 종자 번식에 대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자생지 분포는 서귀포시 영천동과 남제주군 남원읍 하례 2리를 경계하고 있는 효돈천 및 동홍천을 중심으로 해발 100~400m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었다. 2. 삽목에서 발근을 촉진하기 위하여 BA, IBA, Kinetin, IAA, GA3 등을 처리하였으나 발근 발아가 되지 않았다. 3. 발근저해물질인 탄닌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AgNO3를 처리한 다음 BA, lBA, Kinetin 처리에서도 역시 발근은 되지 않았다. 4. 종자를 40℃에서 30일간 처리한 것이 39%의 발아율을 나타냈다. 5. 소귀나무 어린묘의 잎의 형태와 성목의 잎의 형태가 완전히 다르게 전개되는 특성을 보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native distribution of wax myrtle (Myrica rubra) in Cheju Province and its propagation method. Wax myrtle is heavily distributed at 100 to 400m above sea level of Donhong-chun and Hyodon-chun which is bordered by Youngchon-dong of Seogwipo City and Haryeri of Namcheju county. BA, IBA, Kinetin, IAA, and GA3 were applied to promote rooting of cutting but were ineffective in promoting rooting. Treating cuttings with both AgNO,1 which removes rooting inhibitor, tannin and growth regulators such as BA, IBA and Kinetin were also ineffective in promoting rooting. Incubating seeds at 40℃ for 30 days resulted in 39% germination. There was distinct difference in leaf shape between seedlings and mature trees.

저자
  • 고성준
  • 강훈
  • 지성한
  • 장전익